[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미래에셋증권이 연결 기준 작년 매출액을 22조2680억원으로 발표하면서 전년 대비 9% 증가했다고 7일 밝혔다.
|
 |
|
▲ 미래에셋증권이 연결 기준 작년 매출액을 22조2680억원으로 발표하면서 전년 대비 9% 증가했다고 7일 밝혔다./사진=미래에셋증권 |
영업이익은 1조1590억원으로 122% 늘었다. 이로써 지난 2021년 1조4855억원을 기록한 이후 3년 만에 1조원대를 회복했다.
또한 세전이익과 당기순이익은 1조1845억원, 8937억원으로, 각각 217%, 168% 늘어났다.
자기자본은 12조2000억원을 기록해 전년 11조원을 넘어선 지 1년 만에 1조가량 증가하는 등 업계 최대 규모를 유지했다.
미래에셋증권 측 관계자는 이번 실적에 대해 "브로커리지를 포함한 자산관리(WM)와 트레이딩 부문을 중심으로 경상이익 실적이 큰 폭으로 개선됐고 인도 비즈니스 확대를 위해 해외법인 자본 재배분 과정에서 발생한 환차익 등 비경상 이익 약 3400억원이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해외법인은 세전이익이 1661억원으로 전년 대비 243% 늘었고, 이 중 미국법인은 세전이익 945억원으로 창사 후 최대 실적을 시현했다.
미래에셋증권은 "미국법인은 현지 클리어링 라이선스를 보유한 국내 유일 법인으로서 안정적인 미국 주식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며 "현지 주요 거래소인 뉴욕거래소, 나스닥 등과 시스템 연결을 성공적으로 완료하는 등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또한 회사 측은 작년 인도 종합증권사 쉐어칸 인수를 완료한 것을 토대로 올해 인도 시장 지배력 확대와 수익 증가를 기대했다.
작년 미래에셋증권의 연금자산과 해외주식 잔고는 나란히 40조원을 넘겼다. 연금자산은 작년 10월 퇴직연금 실물이전 제도 도입 이후 '머니무브' 현상이 본격화하며 전체 잔고가 42조7000억원에 달했다. 개인연금, 확정기여(DC)형 퇴직연금, 개인형 퇴직연금(IRP) 적립금도 각각 10조원을 돌파했다.
해외주식 잔고가 40조원은 업계 최초 기록이며, 브로커리지 부문에서 탄탄한 성장세가 이어졌다고 회사 측은 전했다.
트레이딩 부문은 전체 운용 이익이 전년 대비 34% 증가한 1조1262억원을 기록했다. 기업금융(IB) 부문은 리스크 관리를 주심으로 15건의 기업공개(IPO)를 주관하는 등 시장 지배력을 유지했다.
미래에셋증권 관계자는 "다각화한 사업 부문에서 경상수익을 창출하고 넥스트 스텝으로의 도약을 앞둔 글로벌 비즈니스 및 인공지능(AI)의 경쟁력을 강화해 지속적인 성장을 이뤄갈 것"이라고 말했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