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관 주재 간담회, 정책방향 설명 및 애로사항 청취
환율·유가 불안정, 가공식품 가격 등 업계 협조 당부
[미디어펜=이소희 기자] 농림축산식품부가 식품업계와 간담회를 갖고 식품산업 정책방향을 설명하고 현안 해결 방안에 대한 논의와 대내·외 환경 변화 상황 등을 공유했다.

   
▲ 식품기업 현안해결을 위한 간담회./사진=농식품부


이번 간담회는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의 주재로 11일 오후 217개 주요 식품 기업 대표 및 임원들과 함께했으며, 식품업계 애로사항을 듣고 미국 신 트럼프 정부의 변화된 대외정책 대응책 등 대해서도 논의했다.

참석한 기업으로는 CJ제일제당, SPC삼립, 남양유업, 농심, 동서식품, 동원 F&B, 대상, 롯데웰푸드, 롯데칠성음료, 매일유업, 빙그레, 삼양식품, 샘표식품, 오리온, 오뚜기, 일화, 풀무원식품 등이다.

이날 송 장관은 환율·유가 불안정, 미국 신정부의 대외정책 등 대외 여건 변화와 제품 원가 부담으로 물가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라면서 식품업계의 상황도 녹록치 않다는 것도 이해하고 있어, 정부는 주요 식품 원자재 할당관세 적용, 세제·자금 지원 등 업계의 부담 경감을 위한 방안 등을 마련했다고 언급했다.

특히 최근 코코아, 커피 등 원재료 가격 상승, 통상임금 개편에 따른 인건비 상승, 에너지 비용 증가 등에 따른 일부 가공식품 가격 인상에 대한 국민적 우려도 전달했다.

일부 가공식품의 가격 인상 움직임은 민생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는 요인이 되며, 물가 안정은 내수 회복과 민생 안정을 위해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이다.

그러면서 송 장관은 일부 원자재 가격상승 등 경영비 부담에도 불구하고 업계에서 제품 가격 인하, 할인행사 등으로 가공식품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대를 유지하고 있다며 감사를 표하기도 했다.

업계는 지난 설 명절을 맞이해 소비자 체감도가 높은 라면, 김치 등 850여 개 제품에 대해 16개 기업이 대대적인 할인 행사를 진행한 바 있다.

이날 농식품부는 기업의 원가부담 경감을 위해 주요 수입 원재료에 대한 할당관세 확대 적용 수입부가가치세 면세 연장 원료구입 자금 등을 지원하고 있는 점을 설명했으며, 업계에도 제조 혁신, 기술 개발 등 생산성 향상으로 가격 인상 요인을 최소화해 정부의 물가안정 정책 기조에 동참해 줄 것으로 당부했다
[미디어펜=이소희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