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소희 기자] 전기자전거, 전동킥보드 등 개인형 전동 이동장치를 효과적으로 재활용하기 위한 시범사업이 추진된다.
|
 |
|
▲ e-모빌리티 순환이용 시범사업 운영체계./자료=환경부 |
환경부는 12일 오전 용인시 처인구 소재 수도권자원순환센터에서 한국환경공단, 한국전기이륜형자동차협회, 한국전자제품자원순환공제조합 등 재활용의무를 공동으로 이행하는 이순환거버넌스와 ‘개인형 전동 이동장치(e-모빌리티)’ 순환이용 시범사업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시범사업은 전기전자제품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 이행 체계를 기반으로 추진된다. 개인형 전동 이동장치는 현재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 비대상으로, 강화플라스틱 등이 다량 포함돼 있어 재활용에 어려움이 있다. 특히 탄소섬유 강화플라스틱은 파쇄 및 선별에 추가 비용이 든다.
협약을 통해 한국전기이륜형자동차협회는 전국 200여 개 회원사 판매대리점과 물류센터에 개인형 전동 이동장치 수거 거점을 마련하고, 이순환거버넌스는 200여 대의 폐전기전자제품 운반 차량을 활용해 무상 회수해 재활용하게 된다.
환경부와 한국환경공단은 해당 재활용 실적을 전기전자제품 생산자책임재활용 실적으로 인정하는 등 적극 지원한다.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연간 전기자전거(25kg 기준) 약 14만 대 분량을 재활용해 철, 알루미늄 등 유가자원 약 3400톤을 회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수거 거점 위치 등 구체적인 배출 방법은 이순환거버넌스 누리집(e-cycle.or.kr) 알림창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병화 환경부 차관은 “개인형 전동 이동장치 등 새로운 유형의 폐자원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민관 협력을 확대하고, 전기전자제품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 대상을 전 품목으로 확대하는 등 법과 제도를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이소희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