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소희 기자] 환경분야 국가표준(KS, Korean Industrial Standards)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환경분야 국가 및 국제표준 발전 방향을 논의한다.
|
 |
|
▲ 환경표준심의회 구성./자료=환경과학원 |
국립환경과학원은 13일 서울 강남구 소재 삼정호텔에서 ‘2025년 환경표준심의회 워크숍’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올해는 범부처 참여형 국가표준 운영체계가 도입된 지 10주년이 되는 해로, 이번 워크숍은 환경분야 표준전문가 약 300명이 참석해 환경표준의 운영 역량 향상 방안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아울러 국제표준화기구(ISO) 대응을 위한 산·학·연 전문가들의 유기적인 협력 발전방향에 대해서도 의견을 나눈다.
워크숍은 총 2부로 진행되며, 1부에서는 △2024년 환경표준심의회 주요 성과 및 2025년 운영계획(국립환경과학원) △세계 표준의 날 국무총리상 수상 기념 표준 제정 방법(한국환경산업기술원) △국제표준화기구(ISO) 표준 국제 동향(조성환 국제표준화기구 회장) 등을 소개한다.
특히 1부에서는 지난 10년간 환경분야 표준대응을 활성화하고, 국제적 입지를 넓힌 성과를 기념하기 위해 조성환 국제표준화기구 회장이 특별 강연을 진행한다.
2부에서는 △국제표준화기구 수질분야(ISO 147) 국제표준화회의 개최 성과 발표(FITI시험연구원) △표준 정보서 소개(한국물기술인증원) △환경분야 기술심의회 및 16개 분야별 전문위원회 개최 순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한편 지난해 10월 ‘제36차 국제표준화기구(ISO) 수질분야 총회’가 서울에서 개최됐으며, 국내 전문가들은 27개국 250여 명의 수질 분야 국제전문가와 함께 미세플라스틱 분석방법 등 활발한 논의를 거쳐 성과를 이뤄냈다.
당시 한국수자원공사의 김윤석 박사는 지난해 새롭게 설립된 작업반(SC2/WG86)에 컨비너(회의준비 총괄)로 임명돼 첫 회의를 진행했다.
수질분야 이외에도 포장환경 위원회(ISO/TC 122)에 김종경 박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가 의장으로 임명돼 현재까지 총 9명의 국내 전문가가 국제표준화기구 임원으로 국제표준화 분야에서 활약하고 있다.
환경과학원은 환경분야 2개의 기술심의회와 16개 분야별 전문위원회를 운영 중이며, 이들 전문위원회는 이번 워크숍에서 올해 활동할 각 분야의 대표 전문위원을 선출하고 세계시장 선점, 기업혁신 지원, 혁신 주도형 표준화체계 확립 등을 위한 환경분야 국가표준기본계획 수립을 논의할 계획이다.
금한승 환경과학원장은 “앞으로도 환경분야 표준전문가들이 활발히 소통할 수 있는 장을 제공해 교류와 협력을 강화하고, 우리나라의 원천기술이 국제표준이 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미디어펜=이소희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