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소희 기자] 개발도상국 온실가스 국제감축 추진을 위해 환경부 소속의 산하기관과 환경연구원이 손을 잡았다.
|
 |
|
▲ 환경부 정부세종청사./사진=미디어펜 |
환경부는 국립환경과학원,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한국수자원공사, 한국환경공단,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등 5개 기관과 한국환경연구원이 13일 서울 종로구 소재 에이치제이(HJ)비지니스센터에서 업무협약을 체결한다고 밝혔다.
이번 업무협약은 개도국의 유엔 파리협정 제6조의 의무를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파리협정 제6조의 의무는 △국제감축사업 승인에서 감축실적발급에 이르는 절차 및 제도의 구축 △국제감축실적에 대한 검증 및 인증 △국가보고서 작성 및 제출 △감축실적 추적을 위한 등록부 구축 및 운영 등으로 구성됐다.
유엔개발계획(UNDP),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GGGI) 등 국제기구는 개도국의 온실가스 감축 준비를 돕기 위한 ‘레디니스(Readiness)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모든 개도국이 이 지원 과정을 제공받기에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번 협약 참여 기관들은 온실가스 국제감축사업과 관련된 법·제도의 설계, 온실가스 감축 검·인증, 격년투명성보고서(BTR) 작성, 감축사업 추진 등을 실제로 수행한 경험이 있다.
환경부는 이들 기관들의 전문성과 경험을 바탕으로 개도국과의 온실가스감축사업을 지원하기 위한 ‘한국형 레디니스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할 계획이다.
우선 각 기관이 가지고 있는 경험을 바탕으로 개도국을 위한 역량강화 지원 과정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환경부는 이를 활용해 개도국에서 필요한 온실가스 감축 역량강화 지원 과정이 적기에 제공될 수 있도록 관리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안세창 환경부 기후탄소정책실장은 “한국형 레디니스 프로그램은 우리나라의 기후분야 전문성을 통해 개도국을 지원하는 의미가 있는 사업”이라며, “환경부는 이 지원 과정을 통해 국내기업의 국제감축사업이 적기에 추진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전했다.
[미디어펜=이소희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