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소희 기자] 환경부가 최근 환경단체에서 제기한 콧속(비강 내) 조류독소 검출과 관련해 환경단체에 공동 조사를 제안했다.
|
 |
|
▲ 녹조 대응설비 가동./사진=수자원공사 |
공기 중과 콧속 조류독소 존재 여부와 인체 영향 등에 대한 문제 제기와 관련 주민들의 불안에 신뢰할만한 검증 결과가 필요하다는 입장으로, 민간·정부·학계가 공동으로 조사해 객관적인 결과를 도출해 내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다만 환경부는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투명하게 조사하되, 관련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과학적인 입증이 가능한 상황에서의 조사방식과 기준을 갖고 추진하겠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환경부는 다음주 중으로 환경단체와 만나 관련 논의를 시작하겠다고 밝혔다. 구체적인 공동 조사방안이 정해지면 녹조가 심해지는 8월부터 조사를 시작해 연말에 결과를 내겠다는 계획이다.
조류독소는 녹조에 의해 생성되는 독성 물질을 말하는 것으로, 환경단체와 일부 학계는 2022년 여름 낙동강 녹조가 심해지자 낙동강 지역의 공기에서 조류독소의 일종인 마이크로시스틴이 나왔다고 주장해왔다.
또한 지난해 10월 환경운동연합 등 환경단체들은 단순히 공기 중이 아닌 낙동강 인근 주민 2명 중 1명의 콧속에서도 신경계 질환 등을 일으키는 녹조 독성물질이 검출됐다고 발표했다.
이에 환경부 장관은 지난 국정감사에서 콧속 조류독소가 검출되면 민․관․학 공동조사를 추진한다고 밝혔고, 이번에 공식적인 공동조사 제안에 이르게 된 것이다.
환경부는 지난 2022년 9월 환경단체의 조류독소 논란 제기에 한차례 공동조사를 제안하고 협의한 바 있지만 협의 과정에서 무산된 바 있다.
때문에 이번 조사에 앞서 환경부는 조류독소 공개조사위원회 운영 방안을 잠정적으로 검토하고 협의에 나선다는 복안이다.
구체적으로, 환경부가 주축이 되는 공개검증위원회와 국립환경과학원을 중심으로 한 전문가위원회로 구성된 공개조사위원회를 운영하는 방식으로, 그 가운데 시민단체와 전문가, 기관이 함께 하는 방안을 제안할 예정이다.
공개검증위원회에서 전문가위원회 구성 및 운영방안, 운영계획, 예산지원 방안 등을 논의하고, 전문가위원회에서는 1단계로 공기중 조류독소, 2단계로 콧속 조류독소, 3단계로 콧속 조류독소의 유해성 등을 조사항목으로 놓고 낙동강과 금강 등의 지역을 대상으로 중립적 검사기관을 선정해 시기와 방법, 조사방안 협의와 검증을 실시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는 환경부가 검토한 안으로, 공동조사 협의과정 중 조율될 수 있다며 의견 수렴 및 연구 데이터 반영 등 구체적인 논의사항에 대한 가능성을 열어놨다.
그간 환경부는 매년 공기중 조류독소 조사를 한국물환경학회에 의뢰해 조사한 결과 공기중 조류독소가 검출된 적은 없다는 입장이다.
위해 가능성의 경우에는 세계보건기구(WHO) 뿐만 아니라 미국 환경청(EPA) 등 국제적으로도 먹는 물이나 친수활동에 대한 물속 권고기준은 있으나, 공기중 조류독소에 대한 권고기준 설정 등을 통해 관리하고 있는 나라가 없는 상황이라며, 검출되더라도 어느 정도가 건강에 영향을 주는 위해 수준인지 연구가 더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이와 관련해 환경부 관계자는 “예를 들어 먹는 물 수질기준은 평생 매일 2리터의 물을 섭취하는 경우 건강상 위해가 나타나지 않는 수준으로 결정된 값”이라며, “그에 따라 설정된 기준이 물속 조류독소는 1㎍/L, 시안은 0.01㎎/L 등, 수영 등 친수활동의 경우 8~24㎍/L가 권고사항”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최근 문제가 된 콧속 조류독소에 대해서는 아직 조사한 바가 없다고 밝혔다. 크게 보면 공기 중 조류독소를 흡입하거나 수영, 보트 등의 친수활동 등을 통한 유입을 고려해 볼 수 있는데 국제적으로 관련 기준이 없고 위해성에 대한 연구도 매우 제한적인 상황으로 파악된다는 것이다.
물환경학회 관계자에 따르면 “연구에 대한 평가가 분분하며, 코로나19 검사의 경우처럼 면봉을 활용한 콧속 채취 방식이 조사여부에 따라 농도가 달라지는 등 보완사항이 많다”면서 “조사 협의과정을 예단하기는 어렵지만 근본적으로 전문가들이 논의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디어펜=이소희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