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 첫 픽업트럭 '타스만' 출격…3750만원부터
KGM, 픽업 통합 브랜드 '무쏘' 출범…첫차는 '무쏘 EV'
[미디어펜=김연지 기자]식어가던 국내 픽업트럭 시장에 새바람이 불고 있다. 그동안 KGM의 독주가 이어졌던 픽업트럭 시장에 완성차 업체들이 속속 참전하면서 경쟁 구도가 요동치기 시작했다. 기아가 브랜드 최초의 픽업트럭을 출시했고, 지프도 신차 투입을 예고하면서 그동안 KGM이 독점해 왔던 시장에 변화가 생길지 주목된다. 

또 완성차 업체들의 잇따른 신차 공세가 침체됐던 국내 픽업 시장이 본격적으로 활성화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13일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국내 픽업트럭 신규 등록 대수는 전년 대비 23.3% 감소한 1만3954대로 집계됐다. 국내 픽업트럭 등록 대수는 지난 2017년 2만3574대, 2018년 4만1467대로 늘었다가 2019년 4만2825대로 정점을 찍었다. 이후 2020년 3만8929대, 2021년 3만902대, 2022년 2만9685대로 계속 하락세를 보였다. 2023년에는 1만8199대로 전년 대비 38.7% 급락했고, 올해 역시 감소세다.

픽업시장 부진 이유로는 대형 SUV 등 픽업트럭을 대체할 수 있는 모델들이 늘어난 데다 신차 부재, 큰 차체로 인한 도심 주행의 어려움 등이 꼽힌다. 현재는 픽업트럭 시장 내에서 사실상 KGM 독주 체제가 이어지고 있다.

   
▲ 더 기아 타스만./사진=기아 제공


올해는 기아, 지프 등이 신차를 출시하며 픽업트럭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보인다. 기아는 이날 브랜드 최초의 정통 픽업 '더 타스만'의 계약을 개시했다. 기아는 글로벌 시장에서 검증받은 준대형 SUV 기반 플랫폼을 활용해 승용차와 상용차의 장점을 결합한 '승용형 픽업트럭'으로 차별화를 꾀한다는 방침이다. 기아는 올해 국내 출시를 시작으로 호주, 아프리카, 중동 시장에 순차적으로 출시할 예정이다.

타스만은 가솔린 2.5 터보 엔진과 8단 자동 변속기를 조합해 최고 출력 281마력(PS), 최대 토크 43.0kgf·m의 동력성능을 발휘한다. 타스만의 가격은 기본 모델 △다이내믹 3750만 원 △어드벤처 4110만 원 △익스트림 4490만 원이며 특화 모델인 △X-Pro는 5240만원이다.

기아의 진출은 KGM이 장기간 이어온 독주 체제에 균열을 낼 가능성이 크다. 국내 픽업트럭 시장은 그동안 KGM이 사실상 독점해 왔다. '무쏘 스포츠', '코란도 스포츠' 등 레저용 픽업트럭을 선보이며 시장을 개척했으며, 지난해에도 압도적인 시장 점유율을 기록했다. 

KGM의 중형 픽업트럭 '렉스턴 스포츠&칸'은 지난해 1만2779대가 팔렸다. 렉스턴 스포츠&칸은 국내 전체 픽업트럭 점유율 88.6%(2024년 기준)를 차지하며 내수 픽업 시장을 이끌고 있는 대표 픽업 모델이다. 포드 레인저가 4.7%, 쉐보레 콜로라도가 2.6%, GMC 시에라가 2.3%, 지프 글래디에이터가 1.9%의 점유율을 각각 기록했다.

KGM은 변화하는 시장 흐름에 맞춰 픽업 통합 브랜드 '무쏘'를 론칭했다. 픽업시장 선두 주자로서 합리적이고 실용적인 픽업 브랜드로 1위 자리를 지켜내겠다는 의지를 담았다. '무쏘'는 1993년 출시된 SUV '무쏘' 브랜드를 계승해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SUT(Sports Utility Truck) '무쏘 스포츠'의 헤리티지를 잇는 신규 픽업 브랜드다. '무쏘' 브랜드명은 코뿔소의 순우리말 '무소'를 경음화 한 이름으로 강인한 힘과 웅장함, 당당함을 상징한다.

   
▲ KGM_무쏘_티저 및_무쏘 EV./사진=KGM 제공


KGM은 올해 1분기 국내 최초 도심형 전기 픽업 '무쏘 EV'를 출시할 예정이다. '무쏘 EV'는 전기차의 운영 경제성과 픽업 본연의 용도성, 실용적인 스타일을 갖춘 모델로 다양한 스타일의 커스터마이징 연출이 가능하다. 

수입 픽업트럭 시장도 달아오르고 있다. 지프는 오는 4월 '뉴 글래디에이터’를 출시한다. 글래디에이터는 경쟁 모델 중에서도 '최정상급' 픽업트럭이다. 새로운 글래디에이터는 새로운 '세븐 슬롯 그릴'과 더욱 정제된 디자인에 새로운 기술과 안정 장치가 추가될 예정이다. 지프는 정통 오프로더 감성을 선호하는 마니아층을 중심으로 픽업 시장에서 존재감을 키우겠다는 전략이다.

국내외 완성차 업체들이 잇달아 신차를 내놓는 이유는 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 변화와 맞물려 있다. 캠핑·차박 등 아웃도어 활동이 대중화되면서 픽업트럭에 대한 관심이 커졌다. SUV보다 넉넉한 적재 공간을 갖추면서도 도심 주행과 장거리 여행에 모두 적합한 '승용형 픽업트럭'이 새로운 선택지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기아의 시장 진입은 국내 픽업트럭 시장에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그동안 선택지가 제한적이었던 국내 시장에 글로벌 완성차 업체인 기아가 뛰어들면서 경쟁이 본격화될 것이란 전망이다. 

다만 단기간에 시장이 급성장하기는 어렵다고 봤다. 여전히 픽업트럭은 도심보다는 레저·상업용 차량이라는 인식이 강해서다. 게다가 차량 크기로 인한 주차 불편, 승용 SUV 대비 부족한 승차감 등도 한계로 꼽힌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 픽업트럭 시장은 여전히 전체 자동차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 않기 때문에 단시간에 눈에 띄게 시장이 커지기는 어렵다"면서도 "기아의 픽업트럭 출시는 그 자체로 상징성이 크다. 기아의 진출로 인해 시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미디어펜=김연지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