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국회 경제분야 대정부질문
최상목 "추경, 정부도 논의 입장"
[미디어펜=이보라 기자] 김병환 금융위원장이 비상계엄 이후 한 달 이상 거의 매일 진행해 온 F4(파이낸스4) 회의와 관련해 비상계엄을 도우려는 측면은 없었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13일 국회에서 열린 ‘경제분야 대정부질문’에 참석해 12월 3일에 무슨 일을 했느냐는 김용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집에 있다가 비상계엄 발표를 보고 F4 회의에 소집됐다”면서 “계엄 이후 시장 상황이 외환시장은 열려있었는데 굉장히 불안했고 그런 부분들에 대해 어떻게 어떤 조치를 해야될지, 어떤 메시지를 내야할지에 대해 논의했다”고 답했다.

   
▲ 김병환 금융위원장이 13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422회 국회(임시회) 제5차 본회의 경제 분야 대정부질문에 출석해 의원들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F4 회의는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한국은행 총재, 금융위원장, 금융감독원장 등 금융관계기관이 수장들이 참석해 경제·금융 현안 등을 논의하는 회의체다. 지난해 12월 3일 비상계엄 선포 직후 첫 소집 이후 불확실성이 커진 경제 상황 대응을 위해 회의를 개최하고 시장에 안정 메시지를 내놓았다.

또 회의의 결론은 뭐였냐는 물음에 김 위원장은 “시장 안정을 위해서 가능한 모든 조치를 하겠다는 메시지를 냈고 구체적인 부분들은 그 다음날 아침 7시에 다시 모여서 논의하자고 했다. 이런 내용이었다”고 답했다.

이어 김 의원은 “비상계엄 직후 F4 회의에 참석하신 분들은 비상계엄에 따른 혼란을 최소화하고 외환시장 등 여러가지 거시경제에 대한 안전을 구축하기 위해 유동성을 무한 공급하겠다는 발표를 했다. 계엄을 도와준 것 아니냐”고 질의했다.

이에 김 위원장은 “그 상황에서 저희들이 해야될 일을 한 것”이라며 “그때는 비상계엄을 도와준다는 측면보다도 저희들이 금융시장 안정을 책임지고 있는 기관들이기 때문에 시장 안정을 위해서 어떻게 할 거냐 하는 부분에 대한 고민이 담겨 있었다”고 설명했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계엄 선포 이후 주가가 하락하고 환율이 상승하는 등 불확실성이 커지고 경제가 큰 충격을 받았다는 것은 인정한다면서도 “‘아무 일도 없었다’라는 윤석열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냐”는 김 의원의 질의에 “대통령께서 사법 절차나 헌재 심판 절차에서 말씀하신 것에 대해 언급하는 건 적절치 않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과 관련해서 최 대행은 정부도 논의하자는 입장을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최 대행은 “민주당의 35조원 추경 예산 발표에 대해 대통령실만 반대하고 있다. 어떻게 하실 거냐”는 박지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물음에 이같이 답했다.

민주당은 이날 오전 35조원 규모의 자체 추경 예산안을 공개했다. ‘전국민 25만원 지원금’ 13조원을 지역화폐로 풀고 여기에 지방정부가 발행하는 지역화폐에 2조원의 재정을 지원하는 내용 등이 담겼다.

최 대행은 “오늘 발표하신 걸 들었다. 지난번에 여야 대표들께서 국회에서 연설하신 걸 들어보니까 추경 필요의 논의 필요성에 대해 인정하시는 것 같다”면서 “정부도 그 부분에 대해서 민생이 어렵고 글로벌 교역의 불확실성이 있으니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자는 입장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국정협의회가 지금 예정돼 있기 때문에 거기서 추경의 기본원칙 이런 부분들을 논의를 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이보라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