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주택 총수 21.3%에 지역난방 보급 전망
에너지 4500만TOE 절감·온실가스 9200만톤 감축 효과
[미디어펜=유태경 기자] 오는 2028년까지 지역난방 총 446만 세대, 산업단지 집단에너지는 총 54개 사업장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 산업통상자원부 정부세종청사./사진=미디어펜


산업통상자원부는 14일 은행회관에서 이 같은 내용의 '제6차 집단에너지 공급 기본계획(안)(2024~2028)'에 대한 공청회를 연다고 밝혔다. 

집단에너지 공급 기본계획은 집단에너지사업법 제3조에 근거해 수립하는 5년간의 법정 기본계획이다. 집단에너지 중장기 공급 계획과 공급 대상, 에너지 절약 및 온실가스 감축 목표 등을 제시한다. 이번 계획은 에너지경제연구원 연구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에너지 정책 방향과 건의사항 등을 고려해 마련됐다.

이번 계획에서는 2028년까지 지역난방 총 446만 세대(2023년 378만 세대), 산업단지 집단에너지는 총 54개(2023년 45개) 사업장으로 확대를 제시했다. 계획대로 실행될 경우 2028년에는 전체 주택 총수의 21.3%에 지역난방이 보급된다.    

우리나라 최종 에너지 소비 48%는 열에너지가 차지한다. 열에너지 주력 공급원인 집단에너지도 탄소중립 시대를 대비해 양적 성장에서 질적 성장으로 전환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곤 했다. 

이에 산업부는 제6차 집단에너지 공급 기본계획(안) 목표를 '청정 열원으로의 전환'으로 설정하고, ▲미활용열 활용을 위한 지역 지정 요건 신설 ▲청정 열원 로드맵 도출 ▲청정열원으로 생산된 집단에너지에 대한 신재생 열에너지 인증제도(RHC) 도입 ▲국가 열지도 고도화 ▲열 거래 가이드라인을 마련한다.

재생에너지 잉여 전력을 활용한 P2H(Power to Heat) 시범사업도 추진한다. 저온 열 활용을 위한 히트펌프에 대한 인센티브 도입 등을 통해 산업단지 집단에너지와 지역난방 탈탄소화 기반을 마련한다는 구상이다. 분산특구를 통해 집단에너지가 수용가에 열과 전기를 직접 판매하는 분산형 에너지로써 역할을 촉진하는 방안도 반영됐다.   

산업부는 제6차 집단에너지 공급 기본계획 시행을 통해 저탄소·고효율·저비용 열에너지 시스템으로 본격 전환할 계획이다. 이 기간 동안 총 4500만TOE의 에너지 절감과 9200만 톤의 온실가스 감축 효과를 낼 것이라는 전망이다. 

산업부는 이번 공청회에서 제시된 의견을 수렴해 제6차 집단에너지 공급 기본계획을 이달 중 확정할 계획이다. 
[미디어펜=유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