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아값 작년 말 50년만에 최고치
[미디어펜=이다빈 기자]세계적으로 초콜릿 원료인 코코아 재고가 바닥을 향해 가면서 초콜릿 제조사들이 제품 가격을 올리거나 합성 초콜릿 등 대체재로 눈을 돌리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14일(현지시간) 코코아 주요 거래 시장인 미국 뉴욕과 영국 런던에서 코코아 재고가 사상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며 이와 같이 보도했다. 코코아버터·코코아액으로 만드는 일반적인 초콜릿과 달리 합성 초콜릿은 인조 지방을 섞은 코코아파우더로 만드는데, 합성 초콜릿 제조가 늘고 있다는 설명이다.

보도에 따르면 인터콘티넨탈익스체인지(ICE)의 런던 시장에서 가용할 수 있는 코코아 재고는 1년 전만 해도 10만 톤을 넘었지만 최근 몇 달은 2만1000톤 수준으로 급감했다.

또 뉴욕 '독립 인허가 창고'들의 총재고도 9만 톤 수준에 불과하다고 전해진다. 이런 창고는 선물(futures) 계약이 이뤄진 원자재를 보관하는 역할을 한다.

코코아 소유주들은 선물 계약 이행을 위해 비교적 인기가 없는 카메룬·나이지리아산 여유분을 거래소 창고에 보관해왔다. 코코아 재고가 부족해지면서 이런 물량도 크게 줄어드는 추세다.

코코아 가격 상승으로 원가 압박을 받아온 초콜릿 제조업계는 코코아 재고 감소로 어려움이 가중됐다.

코코아 가격은 주산지인 코트디부아르·가나 등의 흉작으로 2023년부터 약 3배 상승해 지난해 12월 50년 만에 최고치를 찍었다. 최근에는 고점 대비 20% 가까이 가격이 내렸지만 물량 확보 우려가 여전하다는 것이다.

업체들은 초콜릿 제품 용량을 줄이거나 가격 인상에 들어갔다. 투자은행 웰스파고에 따르면 이번 밸런타인데이 기간 미국 내 초콜릿 소매가격이 전년 대비 최대 20% 상승했다.

때문에 코코아 함량을 줄이거나 합성 초콜릿 등 대체재도 찾아 나섰다고 FT는 전했다.
[미디어펜=이다빈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