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지원 확대, 사장 직속 ‘해양 DX 전략실’ 설치... 디지털 전환 속도 낸다
국제해운거래소 단계별 추진, 친환경 대응 및 중소·중견선사 지원도 늘려
안병길 사장 “글로벌 1위 종합해양지원기관 자리매김하는 원년 삼겠다”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한국해양진흥공사가 올해 해양산업에 총 3조 4000억원을 지원키로 하는 등 금융지원을 확대하는 한편, 인공지능(AI) 등 해양산업 디지털 전환에 속도를 낸다.
|
 |
|
▲ 안병길 한국해양진흥공사 사장이 18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2025년을 글로벌 1위 종합해양지원기관으로서 자리매김하는 원년으로 삼겠다”고 포부를 밝히고 있다./사진=미디어펜 구태경 기자 |
안병길 한국해양진흥공사 사장은, 18일 정부 세종청사에서 해양수산부 출입 기자들과 간담회를 갖고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5년 해진공의 중점 추진사업 계획’을 발표했다.
안 사장은 먼저 “선박, 해양 인프라와 같은 금융사업 이외에도 변화하는 환경에서 해양산업이 잘 대응할 수 있도록 친환경 대응, 공급망 지원, 해양산업 디지털전환과 같은 신규사업을 추진하고자 한다”면서 “올해를 ‘2040년 자산규모 100조 원, 직원수 500명의 글로벌 1위 종합해양지원기관’으로 자리매김하는 원년으로 삼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이날 발표에 따르면, 올해 해진공은 △해양금융공급 확대 △글로벌 수준 해양정보 서비스 제공 △디지털 전환(DX) 지원 △친환경 대응 지원 △글로벌 역량 강화 등 5개 분야에서 총 3조 4000억원 규모의 사업을 추진한다.
먼저 금융분야에서 △선박금융(약 2조 1100억원) △항만물류인프라금융(약 7300억원) △친환경대응(약 3400억원) △공급망안정화 금융사업(약 1000억원) △경영지원 금융사업(약 1900억원) 등을 추진한다.
비금융분야에서는 글로벌 수준의 해양정보서비스 제공을 위해 해운항만물류 보고서 발간과 선박가치평가서 발간, 국가필수선대제도, 글로벌저탄소대응지원사업, 우수선화주인증제도, 수출입물류 데이터 공유플랫폼 등 정부 사업도 차질없이 진행한다.
특히 올해부터는 디지털 플랫폼 구축을 본격 지원하기 위해 지난 7일 조직개편을 통해 사장 직속으로 ‘해양DX전략실’을 설치했고 AI 기반의 공급망 데이터 플랫폼 구축에 130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추가로 글로벌 시장 변동에 대응하기 위한 ‘국제해운거래소(가칭)’ 설립을 단계별로 추진해 해상운임, 친환경 연료, 탄소배출권, 폐선가 선도거래 등 해양파생상품거래 기반 마련에 착수할 방침이다.
안 사장은 “공사는 이제 갓 7살이다. 짧은 기간동안 공공기관으로서 여러 가지 많은 일을 해왔지만 앞으로 해야할 일이 더 많다고 생각한다”면서 “지금까지 국가적 과제 해결에 몰두하다보니 상대적으로 중견·중소선사에 소홀함이 있었지만, 이제부터가 시작이다. 앞으로 중견·중소선사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방향으로 일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국가적인 과제인 환경 대응에도 집중해 공사의 역할을 해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해진공은 2018년 7월 출범 이후 선사의 선박 등 자산확보 지원과 경영안정 지원사업을 비롯해 해양정보 제공 및 정책지원 사업 등을 통해 총 138개사에 약 13조 원 규모의 지원을 완료해 해양산업의 성장에 기여해왔다.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