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진현우 기자]조기 대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비명(비이재명)계 '잠룡'들의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다. 김부겸 전 국무총리와 김두관 전 의원은 비명계 플랫폼 '희망과 대안' 포럼 출범식에 참석해 '포용'과 '개헌'을 강조했다. 김경수 전 경상남도지사는 같은 날 국회에서 열린 행정수도 이전 주제의 토론회에 참석했다.
김부겸 전 총리와 김두관 전 의원은 이날 오후 경기 광명시 광명역사 내 웨딩홀에서 열린 '희망과 대안' 포럼 출범식에 직접 참석했다. 최문순 전 강원지사, 노병성 전국유권자연합회 회장이 공동 상임대표를 맡고 양기대 전 의원이 이사장을 맡은 '희망과 연대' 포럼 출범식에는 박용진 전 의원, 고영인 경기도 경제부지사 등 비명계 주요 인사들도 함께 참석하기도 했다.
김부겸 전 총리는 "'헌정수호' 세력을 하나로 묶어서 법과 절차에 따른 탄핵을 마무리짓고 갈라진 국민의 마음을 안정시켜야 우리 자식들을 위해 바람직한 공동체 출범할 수 있다"며 "(그 길은) 헌정질서를 수호한 여러 세력들을 하나로 모으는 더 큰 연대의 정치를 펼칠 때만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
 |
|
▲ 김부겸 전 총리(왼쪽 두번째), 김두관 전 의원(맨 오른쪽), 박용진 전 의원(맨 왼쪽)이 18일 경기 광명시 KTX 광명역에서 열린 비명계 인사들 모임 '희망과 대안 포럼' 창립식에서 양기대 포럼 이사장과 함께 파이팅을 외치며 기념촬영 하고 있다. 2025.2.18./사진=연합뉴스
|
이어 "다양성과 민주성, 포용성이 사라진 민주당에 미래가 없다"며 "내부의 다양성을 보장하고 다른 목소리를 배척하는 민주당은 과거에도 없었고 미래에도 없을 것"이라고 부연했다.
김두관 전 의원은 "'희망과 대안' 포럼을 중심으로 탄핵과 개헌 연대를 만들어서 향후 50년, 100년 미래 운영을 위한 개헌을 통해 제7공화국을 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재명 당대표와 당 지도부에선 내란을 진화하는 것이 먼저라고 하지만, 제왕적인 대통령 5년 단임제가 가지고 온 폐해가 너무 많이 드러났다"며 "제왕적인 대통령제를 분권형 4년 단임제로 개헌해 지방정부에 권한을 넘겨줘서 지방이 소멸되지 않고 살아남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민주당과 이 대표가 결단하면 적어도 원포인트 개헌은 가능하고 여러 보완을 통해 내년 지방선거와 동시에 (국민)투표를 붙이면 얼마든지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
 |
|
▲ 더불어민주당의 잠재적 차기 대선주자로 거론되는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18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행정수도 세종 이전의 추진방안과 과제 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2.18./사진=강준현 의원실
행정수도와 관련된 제도적인 문제들을 해결하고 대통령실을 세종시로 빠르게 이전하는 것이 가장 현실적인 방안 아닌가 그런 차원에서 오늘 토론회에 참석하게 됐고요.
|
앞서 김경수 전 경남지사는 '친노(친노무현) 적자'로 불리는 이광재 전 강원지사와 함께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행정수도 세종 이전의 추진방안과 과제' 토론회(강준현·김영배 민주당 의원 주최)에 참석해 정책 행보에 나섰다.
김 전 지사는 토론회 참석 전 취재진과 만나 "행정수도 이전은 참여정부 당시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의 꿈이기도 했다"며 "행정수도와 관련된 제도적인 문제들을 해결하고 대통령실을 세종시로 빠르게 이전하는 것이 가장 현실적인 방안이라는 차원에서 토론회에 참석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김 전 지사는 '이재명 대표에 대한 비호감도가 높아 민주당이 중도층에 지지를 받지 못하고 있다'는 취재진의 질문에는 "지금 민주당이 국민으로부터 압도적인 지지를 받지 못한 것은 사실"이라며 "당이 여러 노력을 하고 있고 나도 (당의) 노력에 힘을 보태고 있다. 당이 노력을 계속한다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을 아꼈다.
[미디어펜=진현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