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보라 기자]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규제 강화로 은행에 이어 2금융권까지 대출문이 더욱 좁아졌다. 지난해 은행권에 대한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규제가 강해지면서 2금융권으로 대출수요가 몰리는 ‘풍선효과’가 발생한 영향이다. 이에 중저신용자 금융 공급이 위축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20일 금융권과 금융당국에 따르면 올해 개별 저축은행의 연간 가계대출 증가 목표치가 약 4~5% 수준으로 제한된다. 중저신용자 대출을 많이 취급한 일부 대형사는 이보다 좀 더 높은 약 7% 목표치를 설정했다.

   
▲ 사진=연합뉴스


카드사들도 최근 금융당국 가이드에 따라 카드론을 작년 대비 3~5%만 늘리기로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 농협·새마을금고·수협 등 상호금융권도 가계대출 증가율을 2.8~3.8% 이내로 관리하기로 했다.

금융당국은 은행권의 가계대출 관리 강화에 따른 풍선효과를 막기 위해 2금융권에도 가계대출 증가 목표치를 제출하도록 했다.

금융당국은 올해 전 금융권 가계대출 증가 폭을 경상성장률(3.8%) 이내에서 관리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는데 이 기준을 적용한 것이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4년 중 가계대출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2금융권 가계대출은 여신전문금융회사(+3조2000억원), 저축은행(+1조5000억원), 보험(+5000억원) 등에서 증가했다.

지난해 12월 말 기준 국내 8개 전업카드사(신한·삼성·KB국민·현대·롯데·우리·하나·BC)의 카드론 잔액은 42조7850억원으로 전월 대비 3조4027억원 늘었다. 1년 전인 2023년 말과 비교해도 3조원 가량 증가했다.

이에 서민들의 급전 창구로 여겨지는 저축은행과 카드사 등의 대출문턱이 높아지면서 서민들이 설자리를 잃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현재도 중저신용자는 저축은행과 카드사에서 대출을 받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향후 이같은 현상은 더욱 심화할 것으로 우려된다.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전국 79개 저축은행 중 신용대출을 3억원 이상 신규 취급한 곳은 30개사로 집계됐다. 이 중 신용점수 600점 이하인 저신용자 대상으로 대출을 내주지 않은 저축은행은 19곳으로 전년 동월과 대비해 두 곳 이상 늘었다.

신용점수 601~700점 이상 중신용자에게 대출을 내주지 않은 곳도 DB저축은행·IBK저축은행·동양저축은행·푸른저축은행 등 4개사에 달한다. 이마저도 대출금리는 법정최고금리(20%)에 육박하는 18~19% 수준이었다.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신한·삼성·KB국민·현대·롯데·우리·하나·BC 등 국내 8개 전업카드사 중 신용점수 500점 이하 차주에게 카드론을 내준 곳은 단 한 곳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권 관계자는 “가계대출 총량 증가율 목표치에 맞추다보면 평소라면 대출을 받을 수 있는 고객도 못 받게 되는 경우가 생길 것”이라며 “이런 고객의 경우 대부업체로 갈 수 있는데 대부업체도 법정최고금리 인하 등으로 수익성이 악화하면서 신규대출을 중단하거나 폐업하고 있어 불법사금융으로 내몰릴 위험이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이보라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