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소희 기자]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최근 발표한 전통주 활성화 대책을 통해 “최소한 5년 이내에 우리 쌀 3만 톤이 해마다 전통주 시장에 쓰일 수 있도록 소비를 늘려가는 게 1차적인 목표”라고 말했다.
|
 |
|
▲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이 20일 청주시 소재의 ‘조은술 세종’이라는 주류제조업체를 찾아 주조 제조방식 설명과 애로사항, 업계 제안 등을 청취하고 있다./사진=농식품부 |
현재 전통주에 쓰이는 우리 쌀은 연간 약 5600톤 정도로, 3만 톤이면 6배에 잘한다. 이웃 나라 일본 시장과 비교해도 쌀 소비량이 30배 이상의 차이가 나는 상황이다.
송 장관은 20일 청주시 소재의 ‘조은술 세종’이라는 주류제조업체를 찾아 주조 제조방식 설명과 애로사항, 업계 제안 등을 청취한 데 이어 가진 기자간담회를 통해 이같이 밝히고 지난해 성과와 올해 추진할 일에 대해 설명했다.
올해 들어 송 장관은 농식품부의 주요 업무계획을 현장에 알리기 위해 지난 1월부터 릴레이 현장간담회를 이어가고 있다. 이날도 간담회에 앞서 기자들과의 정책 현안에 대한 추진사항을 설명하고 구체적인 계획을 밝혔다.
특히 이날은 주류업체 방문으로 전통주 시장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송 장관은 “이제 막 한걸음 내딛은 전통주 시장이 조금 더 앞으로 나아가야 할 시기”라면서 제도 정비와 지원, 홍보의 필요성도 언급했다.
우선 양조장 창업을 위한 소규모 주류제조면허 주종을 발효주류에서 증류식 소주·브랜디·위스키 등 증류주로 확대한 것과 주세감면 혜택을 연간 생산량 500kl 이하에서 1000kl 이하로 완화하고 30% 감면 구간을 추가해, 양조장의 부담을 줄인 부분을 주요 성과로 들었다.
또한 지역특산주의 원료조달 규제를 완화해 3개 원료로 지역 농산물을 100% 사용해야 하는 요건을, 제품 중량비 대비 일정 비율 이상 지역 농산물을 사용하도록 완화하고, 소비 차원에서 온라인 판매에 이어 클린카드 사용지침을 개선했다고 강조했다.
이를 통해 공공기관 등이 업무추진카드로 전통주를 구입할 수 있게 하는 등 유통 경로를 늘리는 등 소비와 생산을 모두 늘려 차츰 시장을 확장해 나간다는 복안이다.
너무 빠르거나 급진적인 소비책은 자칫 전통주의 아이덴티티를 무너뜨릴 수 있다는 우려도 있어 단계적으로 추진하겠다는 입장으로 “이 정도 변화도 쉽지는 않았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국내뿐 아니라 해외마케팅을 활용한 소비를 늘리기 위한 홍보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주요 외교행사나 외교관을 대상으로 한 자리에 요즘 뜨고 있는 K-푸드와 함께 전통주를 페어링하는 방안과 해외 바이어를 대상으로 한식과 연계한 전통주 건배주 가이드북을 제작·배포하는 방식을 계획 중이라고 전했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에서 제기됐던 전통주 연구소 운영과 관련해서는 “좀 더 논의가 필요한 상황”이라면서 “현재로서는 민간에서 운영 중인 연구소를 네트워킹해 활성화를 지원하고 농식품부가 콘트롤타워 역할만 맡는 게 맞는 방향인 것 같다”고 송 장관은 언급했다.
이 외에도 이날 간담회에서는 AI 방역 성과 및 가축방역, K-푸드 수출 목표 제시 및 미 트럼프 행정부발 통상문제, 농촌 빈집은행 본격화, 동물복지 3차안, 기후변화 관련 대비책, 농지제도 개편, 고물가 상황에서의 대국민 힐링프로그램 추진 등 주요정책 전반에 대해 언급했다.
특히 미국 신 행정부의 관세정책과 관련해서는 “현재로서는 말만 무성하지, 특별한 것은 없다”며 “대원칙은 우리 국익에 영향을 최소화하고 가장 이득이 되게 하는 방향이다. 철저히 모니터링하고 다양한 시나리오로 대응책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너무 성급한 우려에 대해서는 “협상 대상국이 생각하지도 않은 것을 우리가 염려된다고 보여주는 것은 그들에게 ‘이것을 카드로 써라’라고 보여주는 셈”이라면서 “실무적으로 모니터링하되 공개하지 않는 게 협상 전략이다. 미리 염려를 제기하는 것은 국익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입장을 전했다.
[미디어펜=이소희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