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박준모 기자]정부가 중국산 후판에 최대 38%의 잠정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철강업계는 그동안 시장 혼란을 야기했던 중국산 후판의 경쟁력이 떨어지면서 시장이 정상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
|
▲ 동국제강 후판 제품./사진=동국제강 제공 |
20일 업계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 무역위원회는 이날 제457차 회의를 열고 중국산 탄소강 및 그 밖의 합금강 열연강판 후판 제품을 대상으로 예비 조사를 진행한 결과 덤핑 사실과 덤핑 수입으로 인한 국내 산업의 실질적 피해를 추정할 근거가 충분히 있다고 예비 판정했다.
무역위는 향후 이뤄질 본조사 기간 발생할 수 있는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잠정 반덤핑 관세를 27.91%~38.02% 부과해달라고 기획재정부 장관에게 건의하기로 했다. 기업별 예비 덤핑률을 보면 바오스틸 27.91%, 장쑤샤강 29.62%, 샹탄스틸·사이노 인터내셔널·샤먼 ITG 38.02%, 기타 공급자 31.69%다.
이번 중국산 후판 반덤핑 제소는 현대제철이 단행했다. 현대제철은 지난해 7월 중국산 저가 후판으로 인해 피해를 보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반덤핑 제소했다.
업계 내에서는 이번 관세 부과 조치에 대해 환영하는 분위기다.
그동안 국내 후판 시장은 중국산 후판으로 인해 저가 시장을 형성해 왔다. 중국산 후판은 국산 제품보다 10~20% 수준 낮은 가격에 판매 가격을 형성하면서 포스코, 현대제철, 동국제강 등 국내 철강업체들은 수익을 내지 못하는 수준에서 판매를 이어왔다.
하지만 이번에 중국산 후판 관세 결정으로 인해 시장이 정상화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나온다. 중국산 후판이 국산 제품보다 가격이 높아지면서 가격경쟁력이 떨어질 수 있으며, 국내 철강업체들은 원가 변동에 따라 가격 정책에도 변화를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장기적으로 보면 국내 철강업체들의 판매량이 늘어날 가능성도 있다. 지난해 중국에서 국내로 들어온 후판은 138만1000톤에 달했다. 높은 관세로 인해 중국산 후판 수입 감소가 현실화된다면 국내 철강업체들이 국내 유통시장 내에서 중국산 후판을 대체할 것으로 보인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관세 부과 효과가 서서히 나타날 것으로 기대된다”며 “가격적인 면에서 중국과의 경쟁에서 앞선다면 품질에서도 우위가 있는 국산 제품의 판매도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조선용 후판에도 반덤핑 관세가 적용된다. 다만 대형 조선사가 아닌 중소형 조선사를 대상으로 반덤핑 관세가 부과된다. HD한국조선해양 산하 조선소들은 보세구역으로 지정돼 있어 직접적인 영향은 받지 않을 전망이다.
중소형 조선사들은 현재 50% 이상 비중으로 중국산 후판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관세로 인해 중국산 후판의 가격이 높아진다면 중소형 조선업체들은 국산 제품 비중을 높일 것으로 예상된다.
또 조선업계와의 조선용 후판 가격 협상에서도 일부 영향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철강업계와 조선업계는 매년 상반기와 하반기 한 차례씩 가격 협상을 진행하고 있는데 매번 가격을 놓고 의견 차이가 발생해 협상이 지연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하지만 중국산 후판에 높은 관세가 부과될 경우 가격 협상에서 철강업계의 요구를 무시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예상이다.
조선업계 내에서도 원가 상승을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선박 제조원가에서 후판이 차지하는 비중은 20% 수준이다.
또 다른 철강업계 관계자는 “반덤핑 관세가 부과된다고 해서 당장 가격을 올리는 것도 아니다“라며 ”시장 수요와 원가 변동에 따라 가격을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정부가 적극적으로 중국산 철강재에 대해 무역구제 움직임을 보였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현대제철은 중국산·일본산 열연강판에 대해서도 반덤핑 제소를 했는데 향후 무역위가 반덤핑 조사에 본격적으로 돌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디어펜=박준모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