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소희 기자] 농촌진흥청은 2월 초 한파로 추위에 견디는 힘이 비교적 약한 복숭아와 포도에서 피해가 우려된다며 철저한 재배관리를 당부했다.
특히 기온이 영하 15도(℃) 이하까지 떨어지는 한파는 과수 농가에 큰 영향을 미친다. 겨울잠에서 깬 과일나무는 언 피해(동해)를 볼 우려가 커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조치해야 한다.
사과, 배, 복숭아 등 과일나무가 언 피해에 견딜 수 있는 한계 온도는 과종에 따라 다르다.
복숭아(-20∼-15℃)와 포도(-25∼-20℃)는 사과(-35∼30℃), 배(-30∼-25℃)보다 동해 한계 온도가 높아 큰 추위가 아니어도 피해를 보기 쉽다.
과수에 언 피해가 발생하면 신속하고 체계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우선, 피해 나뭇가지의 껍질을 벗겼을 때 갈색이 보이거나, 수액이 누출되는 등 손상이 보이면 3월 중순 이후로 가지치기 시기를 늦추거나 나무 세력(수세)을 조절해 추가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
또한 언 피해로 수분 손실이 심각해지면 물대기(관수) 작업을 통해 토양 수분을 유지하고, 나무 세력 회복을 돕는다. 병해충 저항성도 떨어질 수 있어 방제 작업을 꼼꼼히 해야 한다.
질소비료는 과하게 주지 말고, 칼륨과 인산 비료를 적절히 사용해 나무의 회복력을 높여야 한다. 장기적으로는 언 피해가 반복되지 않도록 뿌리 부분을 덮어주거나 방풍 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박정관 농진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작물부장은 “올해는 평년보다 봄이 일찍 시작되고 과수 꽃눈이 적어 열매양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철저한 재배 관리와 열매양 확보를 통해 예상치 못한 기상 재해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디어펜=이소희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