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유태경 기자] 정부와 지자체, 발전5사가 '석탄발전 전환 로드맵' 수립 기본방향에 공감대를 형성하고, 세부방안 마련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
 |
|
▲ 산업통상자원부 정부세종청사./사진=미디어펜 |
산업통상자원부는 21일 서울 종로구 석탄회관 대회의실에서 석탄발전 전환 협의체 제2차 회의를 열었다고 밝혔다.
석탄발전 전환 협의체는 지난해 12월 출범했다. 최남호 산업부 제2차관 주재로 1차 회의를 진행한 이후 산업부 전력정책관 주재 실무협의체를 통해 석탄발전 전환과 관련한 세부 이슈를 검토해 왔다.
이날 회의에서 참석자들은 석탄발전 중심 전력믹스에서 친환경·무탄소 전원믹스로의 전환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질서 있는 전환'을 위해 석탄발전 폐지 절차를 마련하기로 했다. 또 석탄발전 폐지로 인한 지역경제와 고용, 산업, 전력계통 등 각 부문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로드맵을 수립하기로 했다.
아울러 석탄발전소 부지, 설비 등 전력 인프라에 대한 적정한 재활용 방안과 발전사의 과감한 사업 재편을 지원하는 방안도 모색하기로 했다.
최남호 차관은 "국회에서 석탄발전폐지 관련법이 10개 이상 발의된 상황에서 이해관계자들이 한 자리에 모여 상호 의견을 청취하고, 범부처 지원 방안을 폭 넓게 논의하는 데 협의체 의의가 있다"며 "논의된 사항을 바탕으로 로드맵 세부내용을 마련하고, 추후 석탄발전폐지지역지원법 정부안에 최대한 반영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확정된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르면 석탄발전은 노후설비를 폐지하고, LNG와 무탄소발전으로 전환해나가는 계획이 반영됐다. 10차 전기본까지의 노후석탄(28기) LNG 전환 계획은 유지하되, 2037~2038년에 수명이 도래하는 추가 12기에 대해서는 양수, 수소전소, 암모니아 혼소 등 무탄소전원으로의 전환을 추진한다.
[미디어펜=유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