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백지현 기자]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25일 “금융통화위원 6명 중 4명이 기준금리를 3개월 내 연 2.75%로 유지할 가능성이 크다는 의견을 냈다”고 밝혔다.
|
 |
|
▲ 이창용 한은 총재가 25일 서울 중구 남대문로 한국은행에서 열린 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담회에서 취재진 질의에 답하고 있다. 한은은 앞서 금통위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종전 연 3.00%에서 2.75%로 0.25%포인트 인하했다. /사진=사진공동취재단 |
이 총재는 이날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금통위원 만장일치 의견으로 기준금리를 연 3.00%에서 0.25%포인트(p) 인하한 직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나머지 2명은 연 2.75%보다 낮은 수준으로 인하할 가능성도 열어놔야 한다는 의견이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총재는 “4명은 대내외 정책 여건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에서 금리 추가 인하 여력이 빠르게 소진되는 데 대한 우려를 들었다”면서 “나머지 2명은 경기 하방 압력을 고려할 때 추가 인하 가능성을 열어놓고 여건 변화에 따라 판단하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이었다”고 설명했다.
다만 “6명 모두 통화정책이 금리 인하 국면에 있으며, 앞으로 데이터를 보면서 인하 시점을 결정하자는 데 공감했다”고 부연했다.
이 총재는 외환시장 변동성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도 기준금리를 인하한 배경과 관련해선 “외환시장 경계감이 여전하지만 물가상승률 안정세와 가계부채 둔화 흐름이 지속되는 가운데 성장률이 크게 낮아질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기준금리 추가 인하로 경기 하방 압력을 완화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한은은 이날 수정경제 전망을 통해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9%에서 1.5%로 대폭 낮추고, 내년 성장률 전망치를 1.8%로 유지했다.
이 총재는 올해 1.5% 이상 성장하려면 “재정정책과 공조가 필요하다”고 거듭 강조했다.
그는 “재정정책이 없다고 해서 금리를 더 낮추게 되면 환율과 물가, 가계부채에 영향을 줄 있어 금융안정 기조가 위협받을 수 있다”면서 “금리 정책으로 모든 경기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추가경정예산 편성과 관련해선 “20조원 이상 규모로 추경을 집행하면 부작용이 크다”고 진단하며 “추경은 단기적으로 성장률이 떨어질 때 보완하는 역할”이라고 말했다.
이어 “근본적으로 성장이 낮아지는 원인은 구조조정을 통해 해결해야며, 장기 재정 건전성도 고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총재는 앞서 추경을 15~20조원 규모로 편성해 성장률을 0.2%p 높여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미디어펜=백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