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유태경 기자] 정부가 올해 첨단산업 분야 표준화와 해외 인증 대응 지원 정책에 총 2475억 원을 투입한다. 전년 대비 9% 증가한 규모다.
|
 |
|
▲ 산업통상자원부 정부세종청사./사진=미디어펜 |
산업통상자원부 등 18개 부·처·청이 참여하는 국가표준심의회는 이 같은 내용의 '2025년도 국가표준시행계획'을 심의·의결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에 의결된 시행계획은 제5차 국가표준기본계획(2021~2025)의 마지막 계획이다.
계획에 따르면 정부는 인공지능(AI)과 반도체, 6G 등 첨단산업 분야 신시장 확보를 위한 기술 표준화에 집중해 성과 확산을 도모한다. 해외인증지원단 운영 등을 통해 우리 수출기업의 인증 부담 완화도 지원한다.
아울러 국민의 행복한 삶을 위한 생활 편의와 안전 표준을 지속 마련하고, 기업에서 표준화를 담당할 전문인력 양성과 연구개발 성과 사업성 강화를 위한 R&D-표준 연계 확대 등 민간이 주도하는 표준화 체계를 강화한다.
앞서 심의회가 제5차 국가표준기본계획의 이행 실적을 점검한 결과, 국제표준 제안과 서비스표준 개발 등 성과 지표의 최종 목표들을 지난해 조기 달성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첨단산업 분야 국제표준 제안을 대폭 확대하고, 기업의 인증·기술규제 부담을 완화하는 표준화를 집중 지원하는 등의 성과로 분석된다.
18개 부·처·청은 향후 5년의 국가표준화 정책 방향을 담는 '제6차 국가표준기본계획(2026~2030)'을 수립하기 위해 범부처 민관 합동 TF를 구성하고, 디지털·AI·ESG 전환 등 사회 변화에 대응하는 전략을 마련하는 데 뜻을 모았다.
오광해 표준정책국장은 "올해 부처별 시행계획이 차질 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부처 간 협력을 강화하겠다"며 "제6차 기본계획을 수립하는 중요한 시기인 만큼 경제·산업·사회 전 분야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국가 중장기 표준 전략을 마련하는 데 만전을 기하겠다"고 했다.
[미디어펜=유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