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회유 의혹 곽종근, 면피 시도에 부하 지휘관 ‘부글’
[미디어펜=최인혁 기자]곽종근 전 육군특전사령관이 ‘공익신고자’로 지정된 것에 군 내부에서 강한 불만이 제기된 것으로 알려졌다. 곽 전 사령관은 비상계엄 당시 국회 무력화 시도에 앞장섰으나, 계엄이 실패하자 책임을 회피할 목적으로 야당에 유리한 주장을 하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된 바 있다.

앞서 김현태 707특수임무단장은 성일종 국방위원과 면담에서 “민주당 의원들에게 이용당했다”라며 더불어민주당이 곽 전 사령관과 자신에게 공익신고자 지정 등으로 회유를 시도했다고 폭로했다.
 
실제 곽 전 사령관은 작년 12월 6일 김병주 더불어민주당 의원 유튜브에 출연해 대통령으로부터 ‘국회의원을 끌어내라는 지시를 받았다’라는 취지로 진술했지만, 이후 헌법재판소 등에서는 발언의 수위와 일부 진술을 번복하는 모습을 보여 진술 신빙성을 의심받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곽 전 사령관이 공익신고자보호법에 따라 형을 감면받을 수 있는 공익신고자로 지정되자, 곽 전 사령관이 면피를 목적으로 책임을 전가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 곽종근 전 육군 특수전사령부 사령관이 12월 10일 국회에서 열린 국방위원회의 계엄 관련 긴급 현안질의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을 하고 있다. /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이에 군 내부에서는 곽 전 사령관이 비상계엄 당시 국회 무력화 시도를 직접 지시했다는 증언과 더불어 곽 전 사령관이 자신의 발언을 상황일지에서 제외할 것을 요구했다는 추가 폭로도 나왔다. 

이상현 특전사 1공수여단장은 지난 21일 국회 청문회에 참석해 비상계엄 당시 곽 전 사령관이 자신에게 보안폰으로 전화해 ‘대통령께서 문을 부숴서라도 국회의원을 끄집어내라고 말씀하셨다. 필요하면 전기라도 끊어라’라고 지시했다고 증언했다. 곽 전 사령관이 부하들에게 국회 장악 시도를 명령한 ‘당사자’라는 지적이다.

그러면서 이 여단장은 "국회 제출을 위해 상황일지를 사령부에 제출했는데, 사령관이 어느 부분은 '내가 말한 거 같지 않은데 좀 빼면 안 되겠냐'라고 했다"면서 "하지만 상황 장교들이 작성한 것이기 때문에 적혀 있다면 그렇게 말씀하신 것이라고 했다"라며 곽 전 사령관의 기록 삭제 지시를 거부한 바 있다고 밝혔다. 

더불어 이 여단장은 곽 전 사령관이 공익신고자로 선정된 것에 대해서는 "(곽 전)사령관은 예하 지휘관들에게 목적을 말하지 않고 위법한 현장으로 투입했다. 의결 직전까지도 그런 행동을 할 것을 지시했고, 중간에 한 번도 중지하라고 한 적 없다"라면서 "지휘관은 선장으로서 자기 부하들이 물 밖으로 다 나올 수 있도록 끝까지 기다려줘야 한다. 저는 제 부하들에 그렇게 하겠다"라며 곽 전 사령관의 면피성 행동을 비판했다.
[미디어펜=최인혁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