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유태경 기자] 반도체‧배터리 등 첨단산업 강국이자 주요 핵심광물 수입국으로 유사한 산업 구조를 보유하고 있는 한국과 일본이 공급망 안정화 협력을 위한 첫발을 뗐다.
|
 |
|
▲ 산업통상자원부 정부세종청사./사진=미디어펜 |
산업통상자원부는 27일 일본 도쿄 경산성 청사에서 일본 경산성과 '제1차 한-일 광물자원협력대화'를 가졌다고 밝혔다.
양국은 이날 회의에서 현재 경제안보 관점에서 핵심광물 비축 시스템을 운영 중인 한국과 일본의 유사성을 바탕으로 글로벌 핵심광물 공급망 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해 긴밀한 협력 체계를 구축해 나가기로 합의했다.
제3국 핵심광물 공동 개발‧생산 협력을 강화해 공급망 리스크를 줄이는 데도 뜻을 모았다. 양국 민간기업‧기관 간 협력을 적극 지원해 중남미‧아시아‧아프리카 등 제3국에서의 공동 핵심광물 개발을 활성화해 나가기로 했다.
또 양국은 글로벌 핵심광물 공급망 안정화를 위한 다자협의체인 MSP와 IEA 등 국제사회 논의에서 정책 공조를 강화해 핵심광물 관련 국제규범 확립 및 공급망 안정화를 위해 노력한다.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에 대한 공동 대응 전략도 모색하기로 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양국은 앞으로도 한-일 광물자원협력대화 등을 바탕으로 글로벌 공급망 위기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전략적 협력을 지속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했다.
[미디어펜=유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