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홍샛별 기자] 인공지능(AI) 칩 대장주 엔비디아가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실적을 발표하면서 국내 반도체 관련 기업에도 호재로 작용할지 시장의 관심이 모아진다.
|
 |
|
▲ 인공지능(AI) 칩 대장주 엔비디아가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실적을 발표하면서 국내 반도체 관련 기업에도 호재로 작용할지 시장의 관심이 모아진다. /사진=연합뉴스 |
26일(현지 시간) 엔비디아는 지난 분기(2024년 11월∼2025년 1월) 393억3000만 달러(56조4582억원)의 매출과 0.89달러(1277원)의 주당 순이익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매출은 시장조사 업체 LSEG가 집계한 월스트리트 평균 예상치(380억5000만달러)보다 3.3% 높은 수준이다. 주당 순이익도 예상치 0.84달러를 웃돌았다.
지난 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78% 급증했다. 순이익은 220억9000만 달러로 1년 전에 비해 80% 증가했다.
엔비디아는 전 세계 최신 AI 칩 시장의 80% 이상을 점유하고 있다. 매출 대부분을 차지하는 데이터 센터 AI 칩 매출은 1년 전 대비 93% 급증한 356억 달러를 기록했다. AI 칩에 대한 수요가 지속되고 있다는 게 엔비디아의 설명이다.
엔비디아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최신 AI 칩 '블랙웰'의 본격적인 양산이 시작되면서 수십억 달러의 매출을 달성했다”면서 “블랙웰에 대한 수요가 놀랍다”고 말했다.
블랙웰은 엔비디아가 지난해 말부터 생산에 들어간 최신 AI 칩이다.
이뿐 아니라 엔비디아는 이번 분기(2∼4월) 매출이 처음 400억 달러를 넘어 430억 달러 안팎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LSEG 예상치인 417억8000만 달러에 비해 3% 정도 높은 수치다.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실적을 발표하며 엔비디아 주가도 강세를 보였다.
엔비디아는 이날 뉴욕증시 정규장에서 전거래일보다 3.67% 상승한 131.28달러로 거래를 끝마쳤다.
시장에서는 엔비디아의 호실적이 국내 반도체 기업들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특히 SK하이닉스에 호재로 작용할 수 있다는 평가다. SK하이닉스는 엔비디아의 블랙웰 칩에 탑재되는 HBM3E 메모리를 독점 공급하고 있다.
즉 블랙웰의 수요 증가가 SK하이닉스의 실적까지 견인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SK하이닉스는 HBM3E의 양산을 이미 시작했으며, 블랙웰 공급 시기가 앞당겨질 경우 수익성이 개선될 것으로 여겨진다.
금융투자업계 한 관계자는 “엔비디아의 호실적은 AI의 성장 가능성을 다시 한번 입증한 셈”이라면서 “특히 이번 실적은 미국 AI가 과도한 투자에 기반한다는 우려가 제기된 가운데 나온 것이라는 데서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AI칩 시장에서 영향력을 강화해 가는 점은 국내 반도체 기업들에게도 긍정적 파급 효과를 미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미디어펜=홍샛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