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박준모 기자]현대제철 노사 갈등이 격화되고 있다. 노조의 파업에 현대제철 측은 사상 처음으로 직장폐쇄를 단행한 데 이어 노조는 투쟁을 이어간다는 방침이어서 갈등이 장기화될 수 있다는 예상도 나온다.
철강업계 내에서는 이번 사태에 대해 우려의 시선을 보내고 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철강 관세와 저가 중국산 수입재 유입 등으로 위기를 맞은 상황에서 노사가 힘을 합쳐야 한다는 지적이다.
|
 |
|
▲ 현대제철 노조가 시위를 하고 있다./사진=현대제철 노조 인천지회 홈페이지 |
27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제철 노조 5개 지회는 연대 전선을 구축하고 공동투쟁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26일과 27일에는 총파업이 예고돼 있었으나 투쟁을 지속할 재정을 마련하기 위해 총파업을 유보했다.
현대제철 노사는 지난해 임금 및 단체협상을 현재까지도 마무리 짓지 못한 상태다. 지난해 9월부터 교섭을 시작했으나 성과금을 놓고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다.
협상이 길어지면서 노조는 지난달 21일부터 총파업과 부분 파업을 진행했다. 이에 그치지 않고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의 자택 인근에서까지 장외 시위를 펼치고 있다.
현대제철 노조는 기본급 15만9800원 인상(호봉승급분 제외)에 성과금으로 현대차와 같은 ‘기본급 500%+1800만원’ 등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측은 기본급 10만 원 인상과 함께 ‘기본급 450%+1000만 원’을 성과금으로 지급하겠다고 제시했으나 노조는 이를 거부한 상태다.
결국 현대제철은 사상 첫 직장폐쇄라는 초강수를 뒀다. 지난 24일 오후 12시를 기준으로 당진제철소 냉연공장 일부 라인에 대해 부분 직장폐쇄를 단행했다.
현대제철 측은 쟁의행위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하고 사업장의 안전을 위해 방어적인 목적의 직장폐쇄를 결정했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노조는 직장폐쇄 결정이 난 뒤에도 투쟁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이로 인해 현대제철의 노사 갈등이 장기화될 것이라는 예상도 나온다.
현대제철 노조 측은 “사측이 사활을 걸고 강하게 맞서고 있는 만큼 시간이 걸리고 고된 싸움이 예상되지만 지금 물러선다면 미래는 없다”며 “반드시 승리를 쟁취해 공동교섭 공동투쟁을 완수하겠다”고 전했다.
|
 |
|
▲ 현대제철 당진제철소./사진=현대제철 제공 |
철강업계 내에서는 현대제철의 노사 갈등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 철강업계가 불확실한 경영환경에 직면해있기 때문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당장 다음 달 12일부터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철강재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국내로 들어오는 저가 중국산 수입재 문제도 아직 해결되지 않았다. 중국산 후판에 대해 반덤핑 잠정 관세가 부과가 확정됐지만 여전히 다른 제품은 저가 중국산이 국내 시장을 위협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노조의 무리한 성과금 요구는 회사의 경쟁력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주장이다. 실제로 현대제철은 지난해 영업이익 3144억 원을 잠정 기록했다고 발표했으나 직원 성과·격려금 변동으로 인해 지난해 영업이익을 1595억 원으로 하향 조정했다.
업계 내에서는 현재는 노사가 힘을 합쳐야 할 때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트럼프 관세와 저가 중국산 유입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현대제철은 물론 철강업계 모두가 머리를 맞대고 위기를 극복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철강업계 빅2로 꼽히는 현대제철이 노조와의 갈등 해결에만 집중하면서 위기 상황을 극복하는 데 힘을 쓰지 못하면 철강업계 전체의 위기로 확대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업계 내에서도 현대제철 노조의 성과금 요구가 너무 과하다는 반응이 나온다”며 “노사 갈등이 장기화되면 현대제철뿐만 아니라 협력사나 고객사에게까지 영향이 미칠 수 있는 만큼 조속히 협상이 마무리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미디어펜=박준모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