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사 자율성 기반 규율체계 정착토록 지원"
[미디어펜=류준현 기자] 금융감독원은 27일 본원 대강당에서 금융회사, 전자금융업자, 가상자산사업자, 협회 관계자 등을 대상으로 '2025년도 디지털·IT부문 금융감독 업무설명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 금융감독원은 27일 본원 대강당에서 금융회사, 전자금융업자, 가상자산사업자, 협회 관계자 등을 대상으로 '2025년도 디지털·IT부문 금융감독 업무설명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이번 설명회는 올해 조직개편으로 신설된 디지털·IT부문의 첫 업무설명회로 마련됐다. 

이종오 금감원 디지털·IT 부문 부원장보는 모두발언에서 "우리 금융 산업이 생성형 AI, 클라우드 등 최근 급속히 발전하는 디지털 신기술을 기반으로 혁신 성장하고, 그 과정에서 참여자 간 공정경쟁 증진, 금융소비자 편익 증대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또 "금융IT 규제의 패러다임이 규칙(rule)에서 원칙(principle) 중심으로 전환됨에 따라, 금융회사의 '자율성'에 기반한 규율 체계가 정립·안착되도록 적극 지원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특히 빅테크·핀테크업계에 대해서는 "단순 점검·지도가 아닌 '컨설팅 중심의 검사'를 통해 회사가 부족하거나 미흡한 부분을 자체 시정·개선토록 하는 등 조화롭고 균형감 있게 감독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도 "금융보안 체계의 자율성과 유연성은 제고하되, 대규모 소비자피해를 유발하는 정보 유출, IT 장애 등 금융사고에 대해서는 엄중하게 대응·조치하겠다"고 경고했다. 

모두발언에 이어 이 부원장보는 △금융분야 AI 활용 촉진 △IT 운영 거버넌스 강화 △전자금융업 건전성 제고 △가상자산 규율체계 고도화 등 주요 업무계획을 설명했다. 

이 부원장보는 "금융분야 인공지능(AI)의 안전한 활용을 촉진하기 위해 금융부문 AI 위험관리를 위한 규율체계 및 인프라 구축과 함께 양질의 학습데이터 확보 및 활용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또 "금융권의 IT 운영 거버넌스 확립을 위해 기존 마련한 'IT 감사 가이드라인'의 실효성 있는 운영을 적극 지원할 것"이라며 "금융회사 스스로 IT리스크를 진단·개선하고, 금감원은 자체 진단결과를 피드백하는 IT자율시정 제도가 원활히 정착되도록 유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전자금융업에 대해서는 "건전성 감독 강화, 선불충전금 보호실태 점검을 통해 전자금융 이용자를 보호하고 업계 신뢰도를 제고하겠다"고 말했다.

이 외에도 가상자산에 대해 이 부원장보는 "가상자산 2단계 입법 및 가상자산 업계의 IT안정성 확보 등 자율규제 마련을 지원하는 등 규제와 혁신이 조화를 이룰 수 있는 가상자산 규율체계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미디어펜=류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