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 이후 산업용 전 227% 상승…기업 부담 가중
전기요금 인상 신중해야…기업들 "저비용 에너지원 확대 필요"
[미디어펜=김연지 기자]국내 제조업체 10곳 중 4곳이 한국전력공사(한전)의 산업용 전기요금 인상으로 인해 자가발전이나 전력 도매시장에서의 직접 구매 등 새로운 전력 조달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은 전기요금 상승이 영업이익 감소로 직결되고 있어 전력 공급 다변화와 에너지 비용 절감 정책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3일 대한상공회의소가 국내 제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전기요금과 전력 시스템에 대한 기업 의견' 조사에 따르면 산업용 전기요금 인상으로 인해 새로운 전력 조달 방식을 시도하겠다고 답한 기업은 11.7%였다.

또 지금 당장은 아니지만 요금이 추가로 오를 경우 대안을 검토하겠다는 기업은 27.7%에 달했다. 이를 합치면 전체 제조업체의 39.4%가 향후 전력 조달 방식을 전환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 대한상공회의소 건물 전경./사진=대한상공회의소 제공


산업계가 새로운 전력 조달 방안을 모색하는 이유는 산업용 전기요금이 지속적으로 인상되면서 자가발전소 설립이나 전력 도매시장(SMP)을 통한 전기 구매가 더 경제적이 됐기 때문이다.

실제로 2000년 이후 전기요금 인상률을 보면, 주택용 전기는 42% 오르는 동안 산업용 전기는 227% 상승했다.

특히 지난해까지 24차례 전기요금 인상이 단행됐으며, 이 중 산업용 위주로 19차례 전기요금이 인상됐다. 2023년에는 산업용 전기요금이 주택용 전기요금을 역전하며, 모든 용도별 요금 중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현재 산업용 전기요금 수준이 '회사의 큰 부담'이라고 응답한 기업은 78.7%에 달했으며, 이 중 46.4%는 경영활동이 위축될 정도로 매우 큰 부담을 느낀다고 답했다.

또 응답 기업의 79.7%는 전기요금 인상으로 인해 영업이익이 감소했다고 밝혔다. 제조업 특성상 가격 경쟁이 치열해 전기요금 인상분을 판매 가격에 전가하기 어렵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기업들은 전기요금 부담 완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산업용 전기요금의 바람직한 조정 방향에 대한 질문에는 '추가 인상을 신중하게 검토해야 한다'는 응답이 46.3%로 가장 많았다.

전기요금 부담 완화를 위한 정책 과제로는 저비용 에너지원 확대(71.0%), 에너지 효율 시설 자금 지원 및 세액 공제 확대(51.7%), 요금제 다양화 등 소비자 선택권 확대(43.3%) 등이 꼽혔다.

특히 인공지능(AI) 발전과 함께 전력 소비가 많은 데이터센터, 반도체 공장 등이 늘어나면서 '분산 전원 시스템' 도입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74.3%에 달했다.

조영준 대한상의 지속가능경영원장은 "에너지를 거의 수입하고 수출이 중요한 나라인 만큼 에너지효율 개선과 산업활동을 지원하는 전력시장이 뒷받침돼야 지속 성장이 가능하다"며 "미래 첨단산업 발전과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한 전기요금 책정과 전력 시스템 구축을 고민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미디어펜=김연지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