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연지 기자]미국이 중국산 제품에 10% 추가 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추가로 10%를 더 부과하겠다고 발표하자 중국도 이에 대한 보복 조치를 준비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보복 조치에는 미국산 농산물과 식품이 우선순위에 포함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왔다. 중국이 미국산 농산물을 포함한 강도 높은 보복 조치를 실행할 경우, 미국 농업과 식품 산업에 상당한 충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3일 중국 관영 영자지 글로벌타임스는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중국 정부가 관세 및 비관세 조치를 포함한 맞대응책을 연구 및 입안 중이라고 보도했다.
미국 농업계는 미·중 무역전쟁이 격화될 때마다 가장 먼저 타격을 받는 취약한 분야로 꼽혀왔다. 중국은 미국산 농산물의 최대 수입국이기 때문에 중국의 보복 조치가 현실화되면 미국 농업 및 식품 산업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
 |
|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사진=연합뉴스 |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싱크탱크 옥스포드 글로벌 소사이어티의 제네비브 도넬론-메이 연구원은 "2018년부터 중국의 미국 농산물 수입은 감소해왔다"면서도 "대두와 육류, 곡물 등 핵심 미국산 농산물에 중국이 관세를 부과하면 미중 무역은 물론 미국 수출업자 및 농가에 큰 타격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중국은 미국의 10% 추가 관세가 지난 4일(현지시간) 발효된 직후 맞불 관세, 희토류 수출통제, 세계무역기구(WTO) 제소 등 즉각적인 보복 조치를 발표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달 27일 이달 4일부터 중국에 대한 10% 추가 관세를 부과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올해 초까지 미국으로 수출되는 중국산 제품에는 평균 25% 관세가 적용됐는데, 지난달 10% 추가 보편 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또다시 10%를 추가하겠다고 발표한 것이다. 중국은 미국이 10+10% 추가 관세를 부과하면 보복 조치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으로 유입되는 합성 마약(펜타닐) 문제가 해결되거나 크게 개선될 때까지 추가 관세를 유지하겠다며 중국 정부의 마약 대응 문제를 관세 부과 명분으로 내세웠다. 이에 대해 중국 정부는 중국은 세계에서 가장 엄격한 마약 퇴치 정책을 시행하는 국가 중 하나라며 강하게 반박했다.
[미디어펜=김연지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