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류준현 기자] 금융감독원은 4일 오후 각 금융협회 및 금융회사 소비자보호 담당자 등을 대상으로 '2025년 금융소비자보호 부문 금융감독 업무설명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
 |
|
▲ 금융감독원은 4일 오후 각 금융협회 및 금융회사 소비자보호 담당자 등을 대상으로 '2025년 금융소비자보호 부문 금융감독 업무설명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
이날 설명회에서는 김미영 금감원 금융소비자보호처장의 인사말씀 외에도 최근 금융소비자보호 환경 변화에 관한 외부전문가 특강, 2025년 금융소비자보호 부문 주요 업무계획을 발표하는 시간을 가졌다.
김 처장은 "경기 불확실성과 금융시장 변동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신종 금융사기 등 민생금융범죄의 증가로 소비자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며 "금융의 디지털화로 새로운 형태의 위험이 증가하고, 금융상품 불완전판매도 이어지면서, 소비자 신뢰 회복을 위한 노력이 절실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금융회사 소비자보호 조직의 기능과 역할 강화 등 질적 고도화를 통해 소비자 보호가 금융회사의 핵심 가치로 뿌리내릴 수 있도록 유도할 것"이라며 "다수 소비자피해가 예상되는 민원에 대해 현장조사를 즉각 실시하며, 상품판매 쏠림 현상 등 발생시 암행 기동점검 등을 통해 신속하게 대응하는 등 사전예방적 조사·모니터링 기능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김 처장은 "고난도 상품의 판매절차 정비, '공정금융 추진위원회' 운영을 통한 불공정거래 관행 발굴 및 개선을 지속 추진할 것"이라며 "분쟁조정위원회 활성화, 민원·분쟁 처리시스템 고도화를 통해 소비자의 눈높이에 맞는 민원·분쟁처리 방식의 효율화를 실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김 처장은 불법사금융, 보이스피싱, 보험사기 등 민생침해 금융범죄에 총력 대응하기 위한 금융권의 적극적인 역할도 강조했다. 당국은 오는 7월 시행 예정인 개정 대부업법 및 개인채무자보호법의 안착을 지원해 취약차주 보호 및 대부·채권추심업권의 건전한 시장 질서 확립을 유도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김 처장은 "금융소비자 보호는 금융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과 건전한 발전을 위한 필수 요소"라며 "금융업계와 함께 소비자의 안전한 금융생활 지원 등 소비자의 신뢰 회복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금감원 관계자는 "업무설명회·라운드테이블에서 제시된 업계의 의견과 건의사항 등을 소비자보호 업무에 적극 반영할 예정"이라며 "향후에도 금융소비자 보호 강화를 위해 다양한 채널을 통해 업계와 지속적으로 소통의 자리를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미디어펜=류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