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소희 기자] 농촌진흥청이 ‘K-농업기술을 활용한 개발도상국 식량안보 기여 방안’을 마련하고, 구체적인 실천 계획을 5일 발표했다.
|
 |
|
▲ 농기계 시연 현장./사진=농진청 |
한국의 우수한 농업기술을 전파하는 일차원적 지원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세계 각국과의 다각적 협력을 통해 글로벌 농업의 발전 가능성을 높이고, 식량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성공적인 식량 자급, 농촌개발 경험과 세계 각국과의 농업기술 협력을 통해 쌓은 신뢰를 바탕으로 상호 연대하고 협력해 개발도상국의 공동 번영을 선도하는 농업기술 협력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농진청 이를 구체화할 3대 전략으로 △농업기술 공적개발원조(ODA) 파급효과 제고 △글로벌 농업 연구개발(R&D) 네트워크 강화 △호혜적인 농기자재 수출 전략을 수립하고 본격 추진에 나설 계획이다.
우선 농업기술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을 통해 개발도상국 맞춤형 농업기술개발과 대륙별 공통 농업 문제해결을 지원하고 있다.
총 20개 국가에 농업기술 전문가를 파견, 맞춤형 농업기술을 개발·보급하는 해외농업기술개발사업(KOPIA), 총 65개 국가가 참여하는 대륙별 농식품기술협력협의체를 통해 개발도상국 농업기술 개발을 지원한다.
ODA 사업의 파급효과를 위해 성공 사례를 효율적으로 확산하고 지속가능성을 높일 수 있도록 수원국 정부, 국내 유관 부처, 국제기구·국제 연구기관과 협업을 강화할 예정이다.
대표적으로 파키스탄에 무병씨감자 수경재배 기술을 전수해 현지 씨감자 생산성을 약 6배 올렸다. 파키스탄 정부에서는 이 사업을 국책사업으로 지정, 양국에서 5년간(2023~2028년) 각 250만 달러씩 공동 투자해 씨감자 자급률을 30%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이 외에도 우간다의 ‘KOPIA 오렌지 시범마을 사업’으로 정부 간 협업, 식량안보 등의 성과가 있었으며, 필리핀 KOPIA 사업으로 구축한 채소비가림 시설을 지방정부에 이양하는 등 농업혁신을 이룬 바 있다. 올해에는 파키스탄, 우즈베키스탄 등 6개 국가에서 농업 정책과 연계해 사업을 추진한다.
또한 농진청은 농림축산식품부가 주도해 아프리카 7개국에서 추진하고 있는 K-라이스벨트 사업에 필요한 제반 농업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2023년에는 벼 우량종자 2321톤을 생산해 사업 목표를 14% 초과 달성했으며, 2024년 사업 목표(3288톤)도 100% 이상 달성하는 등 벼 종자 생산단지를 구축, 2027년까지 연간 우량종자 1만 톤 공급이 목표다.
대륙별 농식품기술협력협의체도 활성화한다. 지난해 6월에 개최한 ‘한-아프리카 정상회의’ 후속 조치로 아프리카 협의체 회원국을 37개국으로 늘려 운영한다. 올해 4월에는 카리브공동체 CARICOM과 함께 ‘한-카리브 농업연구혁신플랫폼’을 출범시키고 14개국을 지원할 예정이다.
또 국제기구·국제 연구기관과 협업해 대륙별 회원국에서 다수 요구하는 기후변화 대응, 농업의 디지털 전환 등을 해결하는 데 집중한다.
특히 전 세계 공통 농업 현안으로 떠오른 기상이변, 농업환경 급변 등에 효율적으로 대응, 개발도상국 식량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농업기술 연구 역량 강화와 연구개발(R&D) 국제협력 네트워크 확보의 필요성이 대두됐다.
이에 농진청은 농업기술 강국 및 국제기관과 공동 추진하는 국제협력 연구과제 11개(전체의 40%)를 기후변화 대응 신품종 개발 또는 농업의 디지털 전환 촉진을 집중 진행한다.
세계 주요 식량작물과 채소류를 중심으로 기상재해와 병해충에 강한 품종 7건 개발이 목표다. 농업 현장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수집·관리해 작물 생산량을 예측하고, 자동 수분관리 기술, 인공지능(AI) 기반 제초 로봇 등 생산성 향상을 위한 환경관리 기술을 개발한다.
나아가 농업기술 연구개발(R&D) 국제협력으로 확보한 기후변화 대응 농업기술에 기반해 국제기구, 국가 연구기관(호주·프랑스 등)과 협력한다. 아시아·아프리카 50여 개국이 참여하는 국제 협력 네트워크를 활용해 ‘국경 이동성 해충의 감시체계’를 구축, 주요 외래 해충에 대한 대응 역량도 기른다.
아울러 농기자재 수출도 확대한다. 현지 여건에 맞는 다양한 농기자재를 적기 투입해 개발도상국의 농업 생산성을 높인다는 방침이다.
아프리카 3개국에는 벼 생산 관련 농기계 20종, 중남미 3개국에는 감자 생산 관련 농기계 16종을 투입한다. 중동 등 8개국에는 혹서기 또는 물 부족 환경에 적합한 시설원예 기술을 보급, 안정적인 채소 재배를 지원할 계획이다.
낙농산업이 농촌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만, 생산성이 낮은 중앙아시아 지역에는 번식관리, 사양관리, 질병 관리에 필요한 K-낙농기술(정액, 수정란, 사료첨가제, 백신 등)을 패키지 형태로 투입해 실증단지를 조성한다.
이 같은 과정에서 대상국 환경에 적합한 농기자재를 종합적으로 구성하고, 수출 컨소시엄을 조직해 한국형 기술을 해외에서 실증·적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 이를 통해 국내 중소기업의 해외 진출 발판을 마련, 농기계 수출이라는 새로운 활로 모색을 뒷받침하겠다는 것이다.
권재한 농진청장은 “공적개발원조 활동은 지구촌 소외된 이웃의 가난과 불평등을 해소해 삶의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리고, 국제사회 동반성장을 약속하는 나침반”이라며 “농진청은 글로벌 중추 국가인 한국의 위상에 걸맞은 책임과 의무를 다해 글로벌 이슈에 시의적절하게 대응하고, 관련 연구개발을 주도해 국경을 초월한 지속 가능한 농업 협력을 이끌어가겠다”고 강조했다.
[미디어펜=이소희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