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박재훈 기자]김동명 LG에너지솔루션 사장이 5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막한 배터리 전시회 '인터배터리 2025'에 방문해 글로벌 시장 전망과 올해 전략에 대해 언급했다.
|
 |
|
▲ 김동명 LG에너지솔루션 사장이 5일 코엑스에서 개최된 인터배터리 2025에 참가해 기자들의 질문에 대답하고 있다./사진=미디어펜 박재훈 기자 |
김동명 사장은 올해 LG에너지솔루션의 1분기 전망에대해 상반기를 저점으로 바라보고 있다고 말했다.
김 사장은 "저희는(LG에너지솔루션)는 1분기 혹은 상반기가 조심스럽게 저점이라고 보고 하반기부터 점차 나아질 것으로 생각한다"며 "상황이 워낙 변동적이고 계속 집중해서 봐야할 것 같다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투자 계획에 대해서는 연초에도 언급했듯 효율적인 방향을 지속 유지하면서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오는 2026년에 캐즘(수요정체현상)이 끝나지 않고 이어질 경우에 대한 시나리오에 대해서도 말했다.
김 사장은 "준비를 잘해야할 시간이고 수요가 줄어들었고 여러가지 변수가 많아 시장이 정리되고 수요가 늘어날 때를 대비해 준비 잘하는 상황 만들어야하고 해당 계획을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이어 중국 배터리 업체가 비중국 시장의 ESS(에너지저장장치)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다는 점에 대해서도 전략을 밝혔다.
그는 "LG에너지솔루션은 우리가 배터리 역사를 써왔다는 자부심을 갖고 있고 그 증거로 가장 많은 배터리 관련 IP를 보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글로벌 오퍼레이션 역량은 우리가 잘하고 있다는 것이 증명돼 있기 때문에 이를 최대한 활용해야할 것 같다"며 "오늘 발표하는 46시리즈 제품 그리고 LFP, 셀투팩, 미드니켈 하이볼티지 시스템 등으로 미뤄보아 우리가 제품을 리딩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해 중국 업체와의 경쟁에서 우위를 만들어 보려 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사장은 멕시코와 캐나다 관세가 시행되는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 행보 대응책에 대해서도 말했다.
그는 "미국의 새로운 정부 정책이 기본적으로 미국내 생산을 장려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며 "미국 내 이미 많은 공장을 갖고 있고, 이에 따라 선진입 효과가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한 인도를 비롯한 동남아, 중남미와 같은 중저가 시장 중 고려하고 있는 사항이 있는 지에 대해서는 "여러 기회있는 시장과 지역 지속적으로 검토중이고, 아직은 구체적으로 지역을 말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며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미디어펜=박재훈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