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석희 사장이 주는 R&D 의지 강해…"개발 인력들 힘 받고 있다"
[미디어펜=박재훈 기자]SK온이 5일 개막한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 인터배터리 2025에 참가하면서 현재 기술개발 현황 및 고객사 수주 현황 등에 대해 공유했다.

   
▲ 박기수 SK온 R&D 본부장 부사장이 5일 코엑스에서 개최된 인터배터리 2025에 참석해 질의응답에 응하고 있다./사진=미디어펜 박재훈 기자


이날 박기수 SK온 R&D(연구개발) 본부장은 개막에 앞서 코엑스를 방문해 SK온의 각 기술들의 개발 현황에 대해 대답했다.

박 본부장은 LFP(리튬, 인산, 철)배터리와 각형 배터리 관련 고객사와 수주 논의 상황과 구체적인 양산 시점을 공유했다.

그는 "지금 각형 배터리는 글로벌적으로 흐름을 타고 있는 상황이고 우리(SK온)도 후발주자로서 시작을 했다"며 "현재 개발 상황은 개발은 완료된 상황이고 양산을 위해 최대한 스피드업을 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또한 "전사 역량을 집중해서 고객 수주에 관련해서는 현재 컨택을 하고 있는 상황이고 양산이라고 하는 것은 고객의 자동차 시장의 타이밍에 맞춰야 되기 때문에 그 일정에 맞춰서 진행을 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후발주자인 46파이 배터리에 대한 개발 단계 및 현황에 대해서는 "폼팩터 높이를 다양하게 해서 개발하고 있는 단계"라며 개발은 완료 상태에 있다고 강조했다.

박 본부장은 양산 레코드를 가져가기 위해선 내부적인 생산 기술 방향성을 잡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차별화된 기술 개발을 위해 논의 중이며 양산을 위해 준비단계에 있다고 부연했다.

SK엔무브와 진행중인 액체 냉각 기술에 현황에 대해서는 현재 개발 단계에 있는 것이 정확하고 말했다.

그는 "액침 냉각 기술은 냉각 성능이 우수하다는 특징으로 급속 충전에 매우 유리한 구조로 돼 있고 열 폭주 현상을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이라며 "SK엔무브와 협업을 가속화해 차별화된 기술 개발 중에 있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 약 2년의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고 있으며 전기차와 ESS(에너지저장장치) 모두 적용하기 위해 진행하고 있다"며 "ESS의 경우 렉이 크기 때문에 더욱 기술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한편 박 본부장은 이석희 SK온 사장이 R&D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이석희 사장은 R&D에 대한 마인드가 굉장히 강하고 매일 강조하는 것이 '테크 드리븐 컴퍼니'이기 때문에 R&D인력들은 힘을 받을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또한 "(이석희 사장은)기술 기반의 좋은 제품을 만들고 낮은 로우코스트 제품을 만들어 OEM과 시장을 비롯한 고객사들이 만족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SK온의 경쟁력이라고 강조하고 있다고 말했다. 
[미디어펜=박재훈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