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원우 기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5일 "최근 투자자들의 해외 직접투자 확대와 증권업계의 자산관리 부문 성장 정체를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5일 "최근 투자자들의 해외 직접투자 확대와 증권업계의 자산관리 부문 성장 정체를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사진=김상문 기자


이 원장은 이날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24개 주요 증권사 최고경영자(CEO)와 간담회 모두발언에서 "내부통제 실패는 개별 금융사 문제에 그치지 않고 금융시장의 신뢰를 무너뜨리는 결과를 초래하며, 신뢰를 잃은 금융시장은 성장할 수 없다"고 발언했다.

또한 이 원장은 "증권업계 일부에서 발생한 불완전판매나 임직원 사익추구 등 불건전 영업행위는 안타까운 부분"이라면서 "투자자 신뢰는 증권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토대"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그는 "증권업계에도 책무구조도가 도입되는 만큼, 증권업 고유의 업무특성을 반영해 책임과 역할을 명확히 하고, 투자자 보호 강화, 상시점검체계 마련 등 내부통제 시스템을 정교하게 구축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또한 이날 이 원장은 "국내 증권사는 자본규모나 수익성 측면에서 글로벌 투자은행(IB)에 비해 열세인 만큼,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블록체인 등 신기술 투자를 확대하고, 디지털 금융 인프라를 고도화해 IB업무역량을 강화하고, 새로운 비즈니스모델을 모색해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제언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그는 "금감원도 사회적 공감대 형성을 통해 주주이익 보호를 위한 제도적 정비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발언했다.

한편 이날 증권사 CEO들은 해외에서 스테이블 코인 등 새로운 결제 수단이 확산하는 상황에서 증권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증권사 법인 지급결제 허용 등 업무 범위 확대가 필요하다는 메시지를 전했다. 아울러 가상자산 상장지수펀드(ETF) 허용도 필요하다고 건의하기도 했다.

모험자본 공급 확대를 위해선 초대형 IB의 역할 확대와 발행어음 활성화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기업밸류업 프로그램 참여 확대를 위한 세제지원방안을 조속히 시행하고, 기업 지배구조 개혁, 스튜어드십 코드 강화, 기관투자자의 적극적 주주권 행사를 건의하기도 했다.

이달 31일로 예정된 공매도 재개에 대해선 '투명한 공매도 관리·감독체계 운영을 통해 투자자들의 예측 가능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나왔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