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민주당 대표로는 10년만에 한경협 회장 만나
한경협, 李에 주52시간제 예외 '대타협' 촉구하기도
'경제계 외연 확장' 나서는 李…20일엔 이재용과 회동
[미디어펜=진현우 기자]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조기 대선을 앞둔 상황에서 '우(右)클릭' 행보의 일환으로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 회장단을 만났다. 

이 자리에서 이 대표는 재계를 향해 "대한민국 경제의 일익을 담당하고 경제발전의 중추 역할을 하는 기업을 못 만날 이유가 없다"고 추켜세웠다. 향후 자신이 직접 앞장서고 있으면서 재계와 갈등을 빚고 있는 반도체특별법 내 주52시간제 예외 문제와 상법 개정안의 향방에 관심이 쏠린다.

이 대표는 이날 오후 국회에서 류진 한경협 회장과 만나 '민생경제 간담회'를 가졌다. 민주당 대표가 한경협 회장을 만난 것은 지난 2015년 문재인 당시 새정치민주연합 대표가 허창수 당시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 한경협의 전신) 회장을 만난 이후 10년 만이다.

당 내부에서는 이 대표의 급격한 우클릭 행보에 불만을 가진 인사들이 일부 존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이 대표는 이날 간담회 중 직접 민주당 내부에서 자신과 한경협 회장단과의 간담회에 대한 반대 성명서를 발표했다는 점도 직접 언급하기도 했다.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사진 왼쪽)가 3월 5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과의 민생경제간담회에서 류진 회장으로부터 '경제살리기 10대 과제' 자료집을 전달받고 있다. 2025.3.5./사진=연합뉴스

이에 대해 이 대표는 "전쟁 중인 적군도 만나는데 대한민국 경제의 일익을 담당하고 경제발전의 중추 역할을 하는 기업을 못 만날 이유가 어디 있는가"라고 간담회의 당위성을 강조했다. 류 회장도 "10년이 너무 길었다"며 "오랜만에 만나니 옛날에 차였던 여자친구를 만나는 느낌"이라고 화답했다.

하지만 구체적인 이슈를 두고서는 이 대표 등 민주당 지도부와 한경협 회장단 간 입장차가 드러나기도 했다. 현재 민주당과 재계 사이에서는 반도체특별법에 연구개발(R&D) 인력의 주52시간 노동시간제 예외 문제와 이사의 주주 충실 의무를 '회사'에서 '주주'로 확대하는 문제 등을 놓고 이견이 좁혀지지 못하고 있다.

한경협 측은 이날 간담회에서 반도체특별법의 주52시간 예외 문제와 관련해 "일부 쟁점이 있지만 대타협의 물꼬가 터졌으면 좋겠다"고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 대표는 이에 대해 "총노동시간을 늘리지 않고 추가근로에 대해선 수당을 지급하는 조치를 하고 특별연장근로 인가 요건을 3개월에서 6개월로 변경하는 조치가 필요하다"는 기존 입장을 재차 설명했다고 조승래 당 수석대변인이 비공개 간담회 종료 후 취재진과 만나 전했다.

상법 개정안을 놓고서도 한경협 측은 "(시행 이후) 부작용이나 문제점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봐야 한다"고 이 대표를 설득한 것으로 알려졌다. 재계는 민주당이 추진하는 상법 개정안이 정당한 기업활동을 방해하고 기업을 향한 주주들의 무차별적인 소송이 이어질 것이라며 반대하고 있다.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3월 5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과의 민생경제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3.5./사진=연합뉴스

이에 대해 이 대표는 "시장에 대한 불안감과 불신을 근본적으로 해소하지 않으면 기업 경쟁력(확보)도 어렵다"고 답했다고 조 수석대변인은 전했다. 다만 양측은 재계가 요구하고 있는 기업의 경영상 판단과 관련한 배임죄 요건 완화와 '행정 편의적·공무원적' 규제 해소에 대해서는 공감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재계와 일부 현안을 두고서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지만 이 대표는 재계를 향해 끊임없는 구애에 나서고 있다. 

이 대표는 지난해 8월 당대표직 연임 이후 대한상공회의소, 한국경영자총협회, 한국무역협회 등을 잇달아 만났다. 이와 함께 이 대표는 오는 20일 서울 강남구 삼성 청년 소프트웨어(SW) 아카데미(SSAFY 아카데미)를 찾아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간담회를 가질 예정이다.

민주당 관계자는 "경제위기 속에 가장 고충이 큰 청년들의 사회진출을 위한 심도 있는 대화와 지원방안에 대한 논의가 있을 것"이라며 "토론 주제로 잡혀있진 않지만 대미(對美) 통상 문제, 국내 경제 문제 등이 논의 소재로 열려 있다"고 설명했다.
[미디어펜=진현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