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운동역학 자체 개발 및 모션시스템 적용…실전과 같은 훈련 가능
잠수함 조종훈련장비 이어 해상분야 시뮬레이터 개발 능력 입증
[미디어펜=박준모 기자]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자사가 개발한 고속상륙정 솔개(LSF-II) 시뮬레이터가 해군에 성공적으로 전력화됐다고 6일 밝혔다.

   
▲ 고속상륙정 솔개 시뮬레이터./사진=KAI 제공


KAI는 2021년 9월 방위사업청과 고속상륙정 솔개의 시뮬레이터 체계개발 사업을 계약 후 41개월의 개발기간을 통해 지난달 28일 납품했다.

고속상륙정은 독도함과 같은 대형수송함에 탑재돼 병력·물자·장비 수송 등 상륙작전과 연안 방어 임무를 수행하는 공기부양정이다. 시속 70km 이상 고속항해가 가능해 승조원들은 고난이도 조종능력이나 비상상황에 대한 절차 숙달 훈련이 요구된다.

고속상륙정 시뮬레이터를 통해 해군은 가상훈련을 통한 효과적인 상륙작전 능력 향상 및 안전한 승조원 양성 시스템을 구축한다.

최근까지 해군은 고속상륙정 시뮬레이터가 없는 상황으로 실제 상륙정을 활용한 훈련과 해외업체 시뮬레이터 교육을 활용, 승조원 양성을 진행했지만 비상상황 및 극한 환경 대응 훈련에는 한계가 있었다.

KAI가 납품한 시뮬레이터는 해상환경(파도·포말 등)을 고려한 함운동역학 자체 개발 및 모션시스템 적용으로 3차원 환경에서 실전과 같은 훈련이 가능해 해군전력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고속상륙정의 핵심 장비인 CAMS 개발 기술을 확보하게 되어 실함에 탑재될 CAMS(통합감시제어장치)의 국산화도 추진 중에 있다.

강구영 KAI 사장은 “이번 고속상륙정 시뮬레이터는 그동안 KAI 쌓아온 항공분야 및 해상분야 기술력이 집약된 산물”이라며 “해군의 정예 승조원 양성을 통해 상륙작전 임무수행 능력을 한층 더 강화할 수 있게 될 것이다”라고 설명했다.

한편, KAI는 AI(인공지능), 빅데이터, 메타버스 등 4차 산업 혁명기술을 적용한 VR(가상현실)‧MR(혼합현실) 메타버스 시뮬레이터 개발도 추진 중으로 시뮬레이터 사업을 미래 핵심 사업군으로 성장시킨다는 계획이다.

[미디어펜=박준모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