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디플레이션 압박 직면…투자 위축 및 해고로 이어질 가능성도
[미디어펜=박재훈 기자]중국 당국의 계속되는 내수 진작 의지 표명에도 불구하고 지난 2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기 대비 0.7% 하락했다.

   
▲ 중국 베이징 내 한 슈퍼마켓./사진=연합뉴스


9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2월 CPI 상승률은 지난해 2월 대비 0.7% 하락했다. 이는 작년 1월 이후 처음으로 CPI 성장률이 마이너스로 전환된 것이다. 하락 폭은 로이터 통신이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 -0.5%를 넘었다.

중국의 전년 대비 CPI상승률은 지난해 8월 0.6%를 기록하고서 △9월 0.4% △10월 0.3% △11월 0.2% △12월 0.1%로 상승 폭이 둔화됐다. 다만 당국의 내수 촉진 정책이 연이어 발표되면서 춘제(설날)이 겹친 올해 1월에는 0.5%로 상승했다.

지난달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전년 동기 대비 2.2% 하락하면서 29개월 연속으로 하락세가 이어졌다. 중국 PPI는 지난해 6~7월 -0.8%로 호전세를 보였으나 8월 -1.8%에 이어 올해 1월 -2.3%를 기록하는 등 둔화세를 보이고 있다.

다른 주요 국가들이 최근 인플레이션을 우려하는 것과 달리 중국은 디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하락)압박에 직면해 있다.

물가 하락은 가계 소비를 오래 억제할 뿐 아니라 기업 수익을 감소시키며 투자를 위축시켜 결국 임금 삭감과 해고로 이어질 수 있어 중국 정부는 우려를 표하고 있다.

왕원타오 상무부장은 지난 6일 연례 최대 정치행사 양회를 게기로 열린 경제장관 합동 기자회견에서 "주요 문제는 소비 능력과 소비 의지의 약세"라고 지적했다.

다만 이날 둥리쥔 중국 국가통계국 도시사 수석통계사는 지난달 CPI·PPI 동반 하락에 대해 "주로 (소비가 많은) 춘제 다음 달이라는 점과 휴가, 일부 국제 벌크상품 가격 파동 등의 영향을 받은 것"이라며 "구조적으로 보면 일부 영역 물가에는 긍정적 변화가 나타났고 PPI 하락폭이 좁혀져 현재 물가 안정·회복세에는 변함이 없다"고 설명했다.

한편 로이터는 "글로벌 관세 위협과 (중국) 국내 과잉생산은 중국 수출업자들을 전 세계적인 가격 전쟁으로 밀어넣으며 상당수가 제품과 임금을 깎도록 강제하고 있다"며 "세계 2대 경제대국에 디플레이션 압박이 예상된다"고 진단했다.
[미디어펜=박재훈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