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백지현 기자]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10일 "미국에 의한 세계 정치, 경제 질서의 전환이 빠르게 이뤄지고 있다"며 "이러한 전환기에 우리가 얼마나 성공적으로 대응하는가에 따라 향후 우리의 성장 경로가 큰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평가했다.
|
 |
|
▲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10일 오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개최한 금융시장 현안 점검·소통회의에서 시장 전문가들과 함께 최근 국내외 경제·금융시장 현황을 점검하고, 향후 대응방안 등에 대해 논의했다./사진=금융위 제공.
|
김 부위원장은 이날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금융시장 현안 점검·소통 회의에서 이같이 말했다.
김 부위원장은 "지금 이뤄지고 있는 세계 질서의 전환이 궁극적으로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 예단하기 어렵다"며 "단기적으로는 전 세계 실물경제를 둔화시키고, 인플레이션 압력을 높이며, 위험자산 투자심리를 위축 시킬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외부 환경의 변화가 금융시장 불안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글로벌 자금 흐름과 시장 상황을 면밀히 살피겠다"며 "높은 수준의 긴장감을 가지고 시장 안정 노력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관계 기관 간 공조를 바탕으로 한 시장 모니터링, 시장 불안요인에 대응하는 시장안정 프로그램 운영, 부채·부동산 문제 등 국내 리스크 요인과 금융기관 건전성에 대한 철저한 관리 등 세 가지 정책 방향을 유지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김 위원장은 "단기적인 경기 방어와 함께 중장기적으로 우리 경제의 잠재적 성장능력을 제고하기 위한 노력도 게을리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그는 "세계적인 기술 패권 경쟁과 함께 관세·리쇼어링(해외 진출 기업의 국내 복귀) 등에 따른 무역장벽 심화, 공급망의 재구성 등으로 다시 한번 전환기가 도래하고 있는 만큼, 새로운 여건에 적응하기 위한 도전을 준비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미디어펜=백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