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홍샛별 기자] 세계적 전기차 기업 테슬라의 주가가 속절없이 무너저 내리고 있다. 지난밤 15% 넘게 폭락하며 약 4년 6개월여만의 최악의 하루를 보냈다. 월가에서는 테슬라의 목표 주가를 잇따라 낮춰 잡고 있다.
|
 |
|
▲ 세계적 전기차 기업 테슬라의 주가가 속절없이 무너저 내리고 있다. 사진은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사진=연합뉴스 |
10일(현지 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테슬라의 주가는 전장 대비 15.43% 내린 222.15달러에 마감했다. 이날 하루 낙폭은 지난 2020년 9월 8일(-21.06%) 이후 최대 수준이다. 주가는 장중 한때 220.66달러까지 추락하기도 했다.
테슬라는 지난해 12월까지만 해도 상승가도를 달렸다. 지난해 11월 5일 251.44달러였던 테슬라의 주가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 이후인 12월 17일 사상 최고치인 479.86달러까지 치솟았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정치적 영향력이 커지면서다. 머스크는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정부효율부(DOGE) 수장을 맡아 연방 정부 부처와 기관 지출을 줄이기 위해 조직 축소와 공무원 대량 해고를 주도하고 있다.
하지만 이후 내리막길을 타기 시작했고, 연이은 하락세로 트럼프 대통령 당선 이후 상승분을 전부 반납했다. 이날 종가는 작년 10월 중순의 주가와 비슷한 수준이다.
지난밤 하락세로 테슬라의 시가총액 역시 쪼그라들었다. 이날 종가 기준 시가총액은 7146억달러로, 하루 만에 1303억달러(약 190조2000억원)이 증발했다.
이날 폭락세는 미 증시 전반을 강타한 관세전쟁 격화와 경기침체 우려에 더해 테슬라에 대한 전 세계 소비자들의 반감이 그 어느 때보다 커진 영향으로 풀이되고 있다.
실제 유럽 최대 시장인 독일에서 지난 1∼2월 테슬라 신차 등록 대수는 작년 대비 약 70% 급감했고, 지난달 중국 상하이 공장의 테슬라 출하량은 49% 감소해 2022년 7월 이후 가장 낮은 월간 실적을 기록했다.
미국에서는 머스크의 정치 활동에 반대하는 시위와 함께 테슬라 차량 및 매장, 충전소 등을 겨냥한 방화, 총격 등의 공격이 이어지는 상황이다. 이날 오전에는 테슬라 신차들이 보관돼 있던 시애틀 시내 주차장에서 사이버트럭 4대가 한꺼번에 불타는 사건이 발생했다는 소식도 전해졌다.
베어드의 애널리스트 벤 칼로는 이날 미 CNBC 방송 인터뷰에서 테슬라를 표적으로 한 일련의 사건들이 테슬라 차량 구매를 고려하는 소비자들을 위축시켜 테슬라 실적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사람들의 차가 열쇠로 긁히거나 불에 타는 위험에 처하는 것을 볼 때, 머스크를 지지하는 사람이나 무관심한 사람들도 테슬라를 구매하는 것을 두 번 생각하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미디어펜=홍샛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