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권동현 기자] 1997년 설립 이후 국내 대형마트 시장 ‘빅3(이마트·홈플러스·롯데마트)’로 자리매김했던 홈플러스가 기업회생절차를 통한 재무구조 개선 및 사업 정상화를 추진 중이다.

11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전국 126개 점포를 운영 중인 홈플러는 최근 기업회생절차 신청에 이어 어음부도까지 맞으며 위기가 잇따르고 있다.

   
▲ 서울 강서구 홈플러스 본사 전경./사진=홈플러스 제공

또한 금융결제원의 당좌거래정지는 신용도에 심각한 타격을 주는 만큼, 향후 협력업체와 거래 및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다음은 홈플러스 설립부터 기업회생절차까지 타임라인이다.

△1997년 9월4일 삼성물산, 대구 홈플러스 1호점 개점.

△1998년 5월 삼성물산, 영국 테스코에 경영권·일정 지분 매각.

△1999년 3월24일 테스코, 삼성물산 유통부문 경영권 인수.

△1999년 4월20일 삼성물산-테스코 합작체제로 ‘삼성테스코’ 설립. 

△1999년 6월 테스코, 홈플러스 지분 81% 확보

△2001년 10월 홈플러스, 매출 1조 원 돌파.

△2002년 2월 테스코, 홈플러스 지분 89% 확보.

△2002년 3월11일 홈플러스 온라인매장 ‘e홈플러스’ 운영.

△2002년 11월3일 매출 2조 원 돌파.

△2004년 6월29일 ‘홈플러스 슈퍼익스프레스’ 1호점 개점.

△2005년 1월19일 홈플러스, 부산·경남지역 유통업체 아람마트 인수.

△2008년 5월14일 이랜드그룹 홈에버(전 까르푸) 인수.

△2011년 6월 테스코, 홈플러스 지분 100% 확보.

△2013년 2월20일 이승한 홈플러스 회장 사퇴.

△2015년 6월 테스코, 홈플러스 매각 착수.

△2015년 9월7일 테스코, 한국 사업 철수로 MBK파트너스 주축 사모펀드 컨소시엄에 약 7조2000억 원에 매각.

△2016년 4월 MBK파트너스, 일부 매장 매각 후 재임차 추진.

△2016년 6월14일 MBK파트너스, 5개 점포 매각 후 재임차.

△2020년 8월 홈플러스 노동조합, 매장 폐점·매각 중단 요구.

△2021년~2023년 홈플러스, 회계연도 기준 2021년, 2022년, 2023년 각각 1335억 원, 2602억 원, 1994억 원 영업손실. 당기순손실 2023년에만 5743억 원으로 3년 연속 적자 지속.

△2024년 6월 홈플러스, ‘홈플러스 익스프레스’ 매각 작업 돌입.

△2024년 11월 홈플러스, 단기 유동성 확보 문제 발생.

△2025년 2월28일 신용등급이 A3에서 A3-로 하락.

△2025년 3월4일 홈플러스,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 개시 신청.

△2025년 3월5일 신라면세점, CJ푸드빌, 에버랜드 등 상품권 제휴사들, 상품권 사용 중단.

△2025년 3월6일 롯데칠성음료, 삼양식품 등 납품 중단. 농심은 공급 유지.

△2025년 3월7일 오뚜기, 일시 중단 후 오후에 정상 공급 재개. 홈플러스, 일반 상거래 채권에 대한 지급 순차적으로 재개 발표.

△2025년 3월8일 삼양식품, 롯데웰푸드 정상 공급 재개.

△2025년 3월9일 홈플러스, “부동산 자산만 4조7000억 원, 금융 부채보다 자산이 많은 기업”이라며 “신용등급이 예상치 못하게 한 등급 하락함에 따라 단기자금 확보에 이슈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협력사·임대점주 피해 방지 위해 긴급히 회생신청” 해명. 

△2025년 3월10일 SC제일은행, 홈플러스 어음 부도 처리. 금융결제원, 홈플러스를 당좌거래정지자로 등록·공지.

[미디어펜=권동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