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유태경 기자] 정부가 국내 기업들이 변화하는 국제 탄소시장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모색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했다.

   
▲ 산업통상자원부 정부세종청사./사진=미디어펜


산업통상자원부는 11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탄소시장 기업 세미나'를 열었다고 밝혔다.

지난해 제29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9)에서 합의된 내용에 따르면 당사국들은 2035년까지 연간 1조3000억 달러 규모의 글로벌 기후 재원을 조성한다. 이에 따라 온실가스 감축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가 확대되고, 국제 탄소시장으로 자금 유입이 활발해지는 선순환 구조가 형성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또한 파리협정 제6조 세부 규칙이 확정됨에 따라 국제 탄소시장 신뢰성과 규범적 안정성이 한층 강화돼 기업들이 온실가스 감축 실적을 보다 안정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이 마련됐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파리협정 제6조 결정사항을 설명하고 국제 탄소시장과 투자 동향을 공유했다. 아울러 기업들이 국제 탄소시장을 활용하는 데 필요한 전략과 기회를 논의했다. 특히 자발적 탄소시장 활용과 온실가스 감축 프로젝트 심사 사례 등 기업들이 직접 활용할 수 있는 핵심 내용을 다루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했다.

안덕근 장관은 "국제 탄소시장은 기업들에게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제공하는 중요한 시장"이라며 "국제 탄소시장 인프라 구축과 국제감축사업 지원 확대 등을 통해 우리 기업이 보다 안정적이고 유연한 환경에서 국제 탄소시장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미디어펜=유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