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5천억 감소서 급반등, 은행자체 주담대, 정책모기지 영향
[미디어펜=류준현 기자] 지난달 은행권 가계대출 공급액이 약 3조 3000억원 증가를 기록했다.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대출규모가 크게 불어난 까닭인데, 연초 대출한도 완화 등 주담대 취급 재개, 신학기 이사수요, 금리인하 등이 고루 영향을 준 것으로 해석된다.

12일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월 금융권 가계대출 동향에 따르면 2월 전 금융권 가계대출은 총 4조 3000억원 급증해 전달 9000억원 순감소에서 증가 전환했다. 은행권 가계대출은 1월 5000억원 감소에서 2월 3조 3000억원 증가로 대폭 증가 전환했다.

   
▲ 지난달 은행권 가계대출 공급액이 약 3조 3000억원 증가를 기록했다.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대출규모가 크게 불어난 까닭인데, 연초 대출한도 완화 등 주담대 취급 재개, 신학기 이사수요, 금리인하 등이 고루 영향을 준 것으로 해석된다./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이는 정책 주담대와 은행 자체 주담대가 크게 늘어난 까닭이다. 실제 디딤돌대출·버팀목전세대출·보금자리론 등 정책성대출은 1월 2조 2000억원 증가에서 2월 2조 9000억원 증가로 확대됐다. 구체적으로 저금리를 자랑하는 디딤돌·버팀목 등이 2조 9000억원에서 3조 4000억원으로 급증했고, 보금자리론도 7000억원 감소에서 6000억원 감소를 기록해 대출규모를 늘리는 데 일조했다. 

아울러 은행 자체 주담대도 1월에는 6000억원 감소였는데, 2월에는 6000억원 증가로 전환했다. 은행들은 지난해 연말까지 가산금리 확대, 대출한도 축소 등의 대출 제한조치로 가계대출 최소화에 집중했다. 하지만 연초 대출총량이 0으로 재설정되면서 본격적으로 대출영업을 재개한 상태다. 여기에 3월 새 학기를 앞둔 이사 수요가 늘어났고, 정부가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 지정 조치를 해제한 점도 가계부채 누증에 영향을 준 모습이다. 실제 서울 잠실·삼성·대치·청담 지역의 토허제가 해제되면서 강남권 집값은 급격한 상승세를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한국은행이 지난해 10·11월 두 차례 기준금리를 각 0.25%포인트(p) 인하한 데 이어, 지난달 25일에도 추가 0.25%p 인하하면서 금리 인하기에 대한 기대감도 한층 커진 상태다. 실제 기준금리 인하에 발맞춰 금융당국이 은행권에 가산금리 인하를 거듭 요구하면서, 은행권도 가산금리 인하에 동참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2월 가계대출은 금융권이 연초 새로운 경영목표 하에서 가계대출 취급을 본격적으로 재개하고 신학기 이사수요 등이 겹치며 다소 큰 폭으로 증가했다"며 "주택도시기금 재원의 디딤돌·버팀목 상환이 확대되고 신학기 수요 해소 등으로 3월 들어 주택담보대출 실행이 감소하는 추세를 감안할 때 충분히 관리 가능한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진단했다. 

그 외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도 감소폭이 크게 줄어들면서 은행 가계대출 확대에 일조했다. 기타대출 규모는 1월 2조 1000억원 감소에서 2월 2000억원 감소를 기록했다. 

한편 금감원은 전날 본원에서 열린 은행부문 금융감독 업무설명회에서 올해 은행부문 감독업무의 기본방침을 '건전성 관리'에 초점을 두겠다고 밝혔다. 감독업무 추진계획에 따르면 당국은 '가계부채 등 리스크의 안정적 관리 및 은행 건전성 제고'를 기본방향으로 잡았다. 이에 △건전성 관리 강화 △쏠림 리스크 및 잠재부실 관리역량 제고 △취약계층 지원 활성화 △금융혁신 유도 등을 기치로 감독을 펼칠 예정이다. 

특히 가계대출의 안정적 관리를 위해 △상환능력 기반 대출 및 심사관행 확립(스트레스 DSR 3단계 대비, 소득증빙 체계 개선 등) △가계부채 모니터링 및 대응 고도화(은행별 관리계획 정교화 및 풍선효과 등 모니터링) △가계부채 질적 구조 개선(장기 자금조달 요건 조성, 행정지도 이행 점검) 등을 추진할 것임을 시사했다. 

[미디어펜=류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