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유태경 기자] 미국이 철강·알루미늄에 대해 25% 관세를 부과하는 조치를 지난 12일 시행한 가운데, 정부가 올해 국내 1300개 수출 기업에 611억 원을 지원한다.
|
 |
|
▲ 산업통상자원부 정부세종청사./사진=미디어펜 |
산업통상자원부는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와 13일 서울 코엑스에서 '2025년 수출바우처 플라자'를 열고, 참여 기업들에 바우처 멘토링 등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는 박정성 산업부 무역정책관과 전춘우 코트라 부사장, 수출바우처 1차 참여 기업 400개사, 수행기관 20개사 등이 참석했다.
산업부는 2017년부터 '산업 글로벌 역량 강화 바우처(수출바우처)'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중소·중견기업은 수출 전 과정에 필요한 통번역, 컨설팅, 국제운송 등 14대 분야 7200여 개 서비스를 바우처 발급 한도(최소 2000만 원~최대 2억 원) 내에서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정부는 이날 행사에서 바우처 참여 기업을 대상으로 바우처 활용 세미나와 1대1 수출바우처 멘토링, 관세 및 물류 애로 컨설팅 등을 실시했다. 특히 올해는 현장감 있는 미국 관세 정보 제공을 위해 미국 관세사를 초청해 '미국 관세정책 동향 및 우리 기업 주의점'을 주제로 강연과 현장 컨설팅을 제공했다.
정부는 미국 신 정부 출범 이후 관세 강화 등 급변하는 글로벌 무역 환경에 우리 기업들이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올해 수출바우처 지원 규모를 확대하고 관세 대응에 필요한 맞춤형 지원을 강화한다.
먼저 전년(561억 원) 대비 9% 확대한 611억 원을 지원하고, 지원 기업도 지난해 1100여 개사에서 올해 1300여 개사로 늘린다.
아울러 다음 달에는 수출 기업이 현지 파트너사로부터 피해 분석과 피해 대응, 대체시장 발굴을 패키지로 지원 받을 수 있는 관세바우처를 도입할 예정이다.
안덕근 장관은 "우리 수출 중소·중견기업이 적극적인 글로벌 시장 진출전략을 가지고 수출 품목과 시장을 다변화한다면 커지고 있는 대외 여건 불확실성을 극복할 수 있다"며 "바우처 참여기업과 수행기관이 합심해서 원팀으로 사명감을 가지고 노력해주길 바란다"고 했다.
[미디어펜=유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