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소희 기자] 기존의 FRP 어선을 대체할 수 있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한 친환경 선질의 시제 어선이 국내 최초로 건조돼 진수된다.
|
 |
|
▲ ‘카이브3호’ 건조과정./자료=해수부 |
해양수산부는 친환경 소재인 ‘고밀도 폴리 에틸렌(HDPE, High-Density Polyethylene)’을 활용한 시제 어선 ‘카이브3호’가 21일 부산 천성항에서 진수된다고 밝혔다.
현재 국내 어선의 약 97%는 가격이 싸고 성형이 쉬운 섬유강화 플라스틱(FRP)으로 건조되고 있다. 하지만 건조 과정에서 다량의 분진과 악취가 발생하고, 수명이 다한 어선은 전량 소각·폐기할 수밖에 없어 환경을 오염시킨다는 지적이 있어왔다.
이에 해수부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한 종류인 환경친화적인 HDPE 소재 어선 건조를 위해 2024년 8월 ‘폴리에틸렌선의 구조 잠정기준’ 제정하는 등 관련 제도를 정비했으며, 연구개발(R&D) 사업을 추진해 용접 기술 등 HDPE 소재 선박 건조에 필요한 기술을 개발해 왔다.
이번에 사용된 HDPE 소재는 건조 시 분진이나 악취의 우려가 없고, 부식이 없어 미세플라스틱이 발생하지 않으며, 재활용이 가능해 친환경 소재로 분류된다.
2010년경부터 노르웨이 등 주요 국가에서는 HDPE를 이용해 선박을 건조하고 있으며, ‘카이브 3호’는 해수부가 추진해 온 AI기반 어선안전 설계데이터플랫폼 개발 및 실증 연구개발(R&D) 사업의 성과로 우리나라 최초의 HDPE 소재 어선이다.
해수부에 따르면, 성능 시험에서 최대 속력 32노트를 기록하는 등 동일 규모의 FRP 어선(25노트)과 알루미늄 어선(30.7노트)을 뛰어넘는 성능을 보이며 FRP 어선의 대체 가능성도 확인됐다.
또한 ‘카이브3호’ 진수를 계기로 분석한 결과, HDPE로 건조할 경우 같은 친환경 소재인 알루미늄 대비 약 30% 저렴한 것으로 확인됐다. 따라서, HDPE 소재가 널리 보급되면 효율적인 친환경 어선 건조가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강도형 해수부 장관은 “이번 연구성과는 어선 건조산업을 친환경 산업으로 전환하는 시작점이 될 것”이라며, “어선 분야에 신기술과 신소재가 적극 활용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말했다.
[미디어펜=이소희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