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보라 기자] 카드업권과 여신금융협회가 카드배송 사칭 보이스피싱 피해 예방을 위한 대국민 홍보 캠페인을 추진한다고 20일 밝혔다.
최근 카드배송을 사칭해 접근하는 보이스피싱 수법이 증가함에 따라 금융감독원에서는 소비자경보를 기존 주의에서 경고로 상향조정했으나 여전히 동일한 수법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
 |
|
▲ 사진=여신금융협회 |
특히 사기범들은 정식 카드사 명칭을 사용하며 피해자의 평범한 일상 속에서 교묘하게 접근하기 때문에 피해자가 사기임을 인지하기 매우 어려워 고액 피해사례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카드배송 사칭범이 알려주는 가짜 고객센터 번호로 전화를 걸면 카드사 직원 사칭범과 연결이 되고, 그때부터 원격제어앱·악성앱 설치를 통한 휴대폰 장악, 사기범의 협박·기망이 시작된다.
고객센터 연락이 필요한 경우 반드시 카드사별 공식 고객선터 연락처를 이용해야 한다.
연락처 확인이 어려울 경우 현재 사용 중인 카드 플레이트 뒷면의 고객센터 연락처로 전화하시면 카드사 종류에 관계없이 해당 카드사의 고객센터 연락처를 안내한다.
앞으로는 카드사의 카드배송 사전 안내 시 소비자 유의사항을 포함해 같이 안내할 예정이다.
또 카드사들은 카드사 문자메시지의 기업로고(CI)나 안심마크, 카카오 알림톡의 인증표시를 확인할 것을 당부했다.
현재 대부분 카드사에서 공식적으로 발송하는 문자메시지에는 CI나 안심마크가 적용(안드로이드폰)되어 있고, 알림톡에는 카카오 인증표시가 적용(전 기종 공통)돼 있다.
보이스피싱 사기범은 CI나 안심마크가 적용되지 않은 문자메시지를 발송함에 따라 카드사 CI나 안심마크가 미표시된 문자메시지를 통해 본인이 신청하지 않은 카드발급·배송안내를 받은 경우 반드시 고객센터로 연락해 정확한 경위를 확인해야 한다.
URL 링크를 통한 앱 설치뿐만 아니라 공식 앱스토어를 통한 원격제어앱 설치도 모두 거절해야 한다. 사기범은 원격제어앱을 통해 피해자 휴대폰을 통제한다.
원격제어앱이나 악성앱 설치가 의심된다면 본인의 휴대폰이 아닌 가족이나 지인의 휴대폰으로 경찰 또는 금감원에 연락해 도움을 요청할 필요가 있다.
카드업권과 여신금융협회에서는 공동으로 소비자 대응요령을 상반기까지 운영 중인 모든 채널을 통해 집중 홍보해나갈 계획이다.
여신금융협회에서는 라디오 공익광고를 실시하고, 각 카드사는 고객센터 통화 대기 시 ARS 멘트로 유의사항을 안내한다.
카드사는 고객 중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알림톡·문자메시지로 유의사항을 발송하고, 카드사 모바일앱·홈페이지 등에 유의사항을 팝업 등으로 안내할 예정이다.
카드업권에서는 배송시스템 전반에 대해 점검하고, 소비자들의 카드발급·배송 등 관련 보이스피싱 우려를 종식시킬 수 있도록 관련 내부통제를 강화하는 방안을 마련·추진할 방침이다.
여신금융협회 관계자는 “향후에도 카드업권에서는 경찰청, 금감원 등 관계기관과 긴밀히 협력하고, 보이스피싱 대응 능력을 강화해 나가는 등 소비자를 더욱 두텁게 보호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미디어펜=이보라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