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과원-경기도 해양수산자원연구소 MOU
기후변화 대응 신품종 개발 및 지역맞춤형 품종 개발
[미디어펜=이소희 기자]  국립수산과학원은 김 국유품종을 활용한 지역 특화 품종 개발 및 브랜드화를 위해 경기도 해양수산자원연구소와 20일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 수과원 해조류연구소와 경기도 해양수산자원연구소 업무협약 체결식(좌측, 황형규 수과원 해조류연구소장·우측, 김성곤 경기도 해양수산자원연구소장)./사진=수과원


국유품종은 국가에서 개발한 신품종으로, 방사무늬김, 잇바디돌김 등 총 20개 품종이 개발돼 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수과원과 경기도 해양수산자원연구소는 △지역 특화 품종의 종자 보존 및 품종 개발, 현장 적용시험 △관련 기술 및 정보 교류 △학술 교류 등 협력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지난해 우리나라 김 산업은 약 10억 달러의 수출액을 기록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큰 인기를 끌었다. 하지만 기후변화로 인한 고수온 현상 등으로 김 생산량의 변동 폭이 커지면서 김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대응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를 위해서는 기후변화에 대응한 신품종을 개발하고, 지역별 특성에 맞는 품종을 보급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수과원은 이 같은 필요에 따라 2020년 부산시를 시작으로 전북, 충남, 인천시 등 4개 지자체와 협력해 지역 맞춤형 김 품종 개발을 추진해 왔다. 

황형규 해조류연구소장은 “지역에 따라 양식 환경과 방식이 다른 만큼, 생산성과 품질의 균일성을 높일 수 있는 맞춤형 신품종 개발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며, “이번 협력을 통해 지역 현안을 해결하고 김 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지원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이소희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