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원우 기자] 코스피 지수가 돌연 4% 가까이 급락하며 투자자들의 우려를 키우고 있다.
|
 |
|
▲ 1일 코스피 지수가 돌연 4% 가까이 급락하며 투자자들의 우려를 키우고 있다./사진=김상문 기자 |
1일 유가증권시장에서 코스피 지수는 전일 대비 126.03포인트(-3.88%) 급락한 3119.41로 이달 첫 거래일이자 이번 주 마지막 거래를 마쳤다.
코스닥 지수는 4% 넘게 빠지며 32.45포인트 밀린 772.79로 거래를 마감했다.
코스피 지수는 개장 시점부터 전장 대비 35.12포인트(-1.08%) 내린 3210.32로 출발해 장중 낙폭을 계속 키워나갔다.
특히 외인과 기관들의 매도세가 거셌다. 이날 외인은 약 6600억원, 기관은 1조716억원어치를 팔아치우며 지수를 압박했다. 개인만이 1조6300억원 정도를 매수했지만 흐름 반전엔 역부족이었다. 외인은 코스피200선물시장에서도 약 7700억원어치를 팔아치웠다.
이날 급락세 원인으로는 여러 가지가 꼽히지만 지난달 31일 발표된 세제개편안이 하나의 원인을 제공한 것으로 관측된다. 개편안에 따르면 양도소득세 20%를 내는 ‘대주주’ 기준이 올해부터 50억원에서 10억원으로 다시 낮아지게 됐다.
10억원 기준이 적용되던 당시 연말로 갈수록 양도소득세 회피물량이 대거 출회되며 지수 전체의 부담으로 작용하곤 했다. 이 역시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한 사례로 지속 언급되며 투자자들의 불만사항으로 자주 지목됐다.
‘코스피 5000’이라는 목표를 내건 이재명 정부가 정작 취임 이후 투자자들의 기대와는 다른 방향으로 가고 있다는 정황이 포착되자 외인과 기관이 가차없이 매도 포지션을 잡은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심지어 일부 국내 증시 투자자들은 국회 청원에 나서기도 했다. 청원글을 게시한 한 투자자는 “양도소득세는 대주주가 회피하기 위해 연말에 팔면 그만인, 회피 가능한 법안”이라며 “그만큼 세금 회피용 물량이 나오게 되면 하락할 수밖에 없다”고 성토했다.
그러면서 이 투자자는 “미장이랑 국장이랑 세금이 같다면, 어느 바보가 국장을 하나”라고 반문하며 “연말마다 회피 물량이 쏟아지면, 코스피는 미국처럼 우상향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해당 청원은 올라간 지 하루가 되지 않은 이날(1일) 오후 3시 기준 3만1000명이 넘는 동의를 받아냈다.
한편 전문가들은 아직까지 국내 증시 ‘우상향’에 대한 기대를 완전히 끊어버리지는 않은 모습이다. 김두언 하나증권 연구원은 “법인세율 인상과 대주주 양도소득세 기준 강화로 인해 8월에는 시장 변동성이 커질 것으로 판단한다”면서도 “주식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단기적인 조정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해 눈길을 끌었다.
김 연구원은 “한국 주식 시장은 경험적으로 국내 이슈에 대한 반응은 일시적이었고, 큰 흐름은 글로벌 거시경제 환경에 좌우된다”면서 “현재는 유동성이 풍부하여 주식 시장에 우호적인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그는 “이번 조정을 도약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는 기존의 긍정적인 전망에는 변함이 없다”고 분석했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