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민간 협력...생활 밀착형 안전 서비스 확산
[미디어펜=김견희 기자]고령화와 1인 가구 증가로 생활 공간의 치안 공백이 넓어지는 가운데 SK쉴더스의 물리보안 브랜드 ADT캡스는 지자체와 협력해 추진하는 '캡스홈' 지원사업을 확대하고 있다고 18일 밝혔다.

   
▲ ADT캡스 AI CCTV 캡스홈./사진=ADT캡스 제공


캡스홈은 2021년 서울시 3000세대 지원으로 시작해 현재까지 5900가구로 확대됐다. 3년 만에 296% 늘어난 규모다. ADT캡스는 앞으로 보안 인프라가 상대적으로 취약한 비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사업을 넓혀 범죄 예방에 기여한다는 계획이다.

캡스홈 서비스는 1인 가구, 스토킹 피해 여성, 고령층 등 안전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지자체와 협력해 무상 제공된다. 현관 앞에 설치된 AI CCTV는 낯선 인물을 구분하고, 현관문 열림·이상 움직임이 감지되면 즉시 알림을 보낸다. 긴급 상황에서는 앱이나 SOS 버튼을 통해 출동 지원도 가능하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국민 가운데 ‘우리 사회가 안전하다’고 답한 비율은 28.9%에 불과했다. 범죄(17.9%)가 가장 큰 불안 요인으로 꼽히면서, 전문가들은 사후 처벌만으로는 국민 불안을 해소하기 어렵다고 지적한다. 생활 공간 자체를 안전하게 만드는 ‘예방 중심’의 보안 투자와 사회적 안전망 확충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해외에서도 비슷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영국은 ‘안전한 거리(Safer Streets)’ 제도를 통해 CCTV와 영상 도어벨 보급을 늘렸고, 싱가포르는 공공주택과 주차장에 AI 기반 CCTV 9만 대를 설치해 주거침입 범죄를 절반 수준으로 줄였다. 국제적으로 ‘처벌보다 예방’ 기조가 보안 정책의 핵심으로 자리잡고 있는 셈이다.

국내 역시 190만 대가 넘는 CCTV를 운영하고 있지만, 관제 인력 부족이 한계로 지적된다. 이에 지자체들은 안심 귀가 서비스, 무인 택배보관함 같은 생활 밀착형 안전사업을 도입하고, 민간 보안 기업과 협력해 맞춤형 서비스를 확대하는 추세다.

정부 차원의 제도적 움직임도 병행된다. 최근 국회에서 발의된 '범죄예방기반 조성에 관한 법률안'은 범죄 예방을 국가와 지방정부의 책무로 규정하려는 첫 시도로, 향후 민관 협력 보안 모델이 제도적 안전망과 결합할 경우 효과는 더욱 커질 전망이다.

ADT캡스 관계자는 “캡스홈 지원사업은 지자체와 협력해 안전 취약계층이 체감할 수 있는 보안망을 구축한 사례”라며 “앞으로 더 많은 지역으로 협력을 확대해 예방 중심의 안전 모델을 확산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미디어펜=김견희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