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 성수기, 모델하우스 오픈 단지들 늘어나
지방, 여전히 찬바람 불고 있어 수도권과 상반돼
취득세 완화 등 다주택자 세제 혜택 필요성 제기
[미디어펜=서동영 기자]가을 이사철 대목을 앞두고 아파트 분양 시장에 대한 기대감이 솟고 있다. 하지만 지방은 여전히 찬바람 불 것으로 예상된다. 지방 미분양이 심각해지는 가운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주택을 구매할 수 있는 다주택자에 대한 세제 혜택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22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이달 서울과 경기, 인천, 부산 등 전국 10여 곳에서 견본주택을 오픈할 예정이다. 보통 견본주택이 주중 금요일에 열리는데 전날인 목요일에서야 개관이 확정되는 경우도 있는 점을 고려하면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추석과 가을을 앞두고 분양에 나서겠다는 전략으로 읽힌다. 보통 부동산업계에서 가을은 성수기로 보고 있다. 학부모들이 자녀의 학군을 옮기기 위해 아파트 거래가 증가하면서 청약신청도 함께 늘기 때문이다. 
 
다만 지방은 여전히 쉽지 않다. 업계 관계자는 "6.27 대출규제로 인해 예년만큼은 아니지만 서울과 경기, 인천 등 수도권은 그래도 분양하면 언젠가는 팔릴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하지만 지방은 엄두가 나지 않는다"고 밝혔다. 

리얼투데이는 올해 1~9월(16일 기준·청약접수일 기준)까지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을 통해 청약 접수를 진행한 지방 분양 단지(보류지·조합원 취소분 물량 제외)를 확인한 결과, 해당 기간에 공급한 83개 단지 중 전 주택형 1순위 마감 단지는 6곳에 불과했다.  

지방은 1순위는커녕 지방은 절반만 채워도 선방한 수준이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올해 2분기 말 기준 전국 민간아파트의 초기 분양률은 64.1%다. 하지만 지방 아파트 초기 분양률은 겨우 50%대에 그치고 있다. 5대 광역시와 세종특별자치시는 57.9%, 기타지방(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은 47.1%다.

다만 울산, 부산 등 일부에서는 최근 분양률이 증가하는 등 회복 기미가 보이고 있다. 다만 이는 청약수요자들의 선별 청약 움직임에 따른 모양새다. 같은 지역에서도 입지, 고급화 단지에만 몰리는 양극화가 이어지고 있다. 부산의 경우 해운대구, 수영구 등 동부산권 단지들은 분양성적이 좋지만 서부산은 고전하고 있다. 
 
이재명 정부가 국토균형발전을 통해 수도권 집중 및 지방 활성화를 꾀하고 있지만 지방 미분양을 해결하지 않고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지적이다. 최근 정부가 지방 미분양 해소를 위해 1만 가구 환매조건부 매입 등 수요 진작을 위한 정책을 내놨다. 비수도권 준공 후 미분양 주택에 대한 양도세·종부세 중과 배제 적용기한도 올해 말에서 내년 말까지 1년 연장했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세금 혜택은 준공 후 미분양 뿐만 아니라 지방에서 분양하는 아파트 대해서도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그렇지 않으면 지방 미분양 물량은 계속 쌓일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업계 관계자는 "미분양이 쌓이면서 지방의 건설과 부동산 경기 침체가 지방 경제 상황을 더 악화시키고 있다"며 " 다주택자 취득·양도세 중과세율을 없애주는 등 각종 세금 감면이 필요한 시기"라고 설명했다. 
[미디어펜=서동영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