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서동영 기자]8일째 계속되고 있는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업무 일시중지)에도 불구하고 뉴욕증시는 호조를 나타냈다. 전날 불거진 인공지능(AI) 거품론에 대한 우려도 상승세에 찬물을 끼얹지 못했다.
|
 |
|
▲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업무중단)에도 미국 S&P500·나스닥은 상승세를 나타냈다./사진=연합뉴스 |
8일(현지 시각) 미 뉴욕증권거래소에서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39.13포인트(0.58%) 상승한 6753.72, 기술주 중심 나스닥지수는 255.02포인트(1.12%) 오른 2만3043.38로 각각 장을 마쳤다. 이로써 S&P500 지수와 나스닥 지수는 모두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다만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20포인트(0.00%) 하락한 4만6601.78로 마감했다.
이날로 8일째 접어든 연방정부 셧다운도 증시에 영향을 끼치지 못했다는 평가다. 공화당과 민주당의 대치 국면이 계속되면서 당분간 셧다운이 계속될 것이란 전망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셧다운에도 불구하고 AI 및 반도체 관련주로 구성된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3.40% 급등했다. 해당 지수를 구성하는 30개 종목 중 28개 종목이 강세를 나타냈다. 11.37% 급등한 AMD는 이번 주에만 시총이 1200억 달러 증가했다. 엔비디아와 브로드컴은 2%대, 마이크론테크놀로지와 Arm은 5% 내외로 상승했다. TSMC는 3% 이상 올랐다.
이는 AI에 대한 거품론보다 낙관론이 힘을 받았기 때문이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AI 산업에 대한 낙관론을 설파하며 오라클을 옹호한 것이 AI 관련주 매수로 이어졌다. 젠슨 황 CEO는 이날 미 CNBC와의 인터뷰에서 "지난 6개월간 컴퓨팅 수요가 상당히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전날 기대 이하 수익성이 전망돼 2% 넘게 하락한 오라클에 대해서도 "시스템이 자리를 잡으면서 수익성이 놀라울 정도로 개선될 것"이라며 긍적적으로 내다봤다.
한편 이날 뉴욕상업거래소에서 12월 인도분 금 선물 종가는 온스당 4천70.5달러를 찍었다. 전장보다 1.7% 올라 종가 기준 사상 최고치 기록을 다시 세웠다.
[미디어펜=서동영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