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벨트 중심 서울 집값 상승세 계속되고 있어
정부, 토허제 확대 지정 등 추가 규제 내놓을 듯
전문가들, 근본적 집값 하락 가능성 회의적 반응
[미디어펜=서동영 기자]서울 아파트 매매가가 연일 상승세다. 특히 마포구, 성동구, 광진구 등 이른바 '한강벨트' 지역이 중심이 돼 이를 견인하고 있다. 정부가 추석 연휴 후 해당 지역에 대한 규제를 내놓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서울 집값 오름세를 꺾기 쉽지 않다는 전망이다. 

   
▲ 정부가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 지정 등을 발표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집값 상승을 잠재울 수 있을지는 회의적이다./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10일 한국부동산원의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9월 다섯 번째 주(29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는 0.27% 오르며 전주 0.19% 대비 상승폭이 커졌다. 이로써 서울 아파트 가격은 지난 2월 초 상승 전환한 이후 35주째 오름세가 이어졌다. 이는 역대 7번째 상승 랠리다. 지난달 초부터 4주 연속 오름폭도 확대되고 있다.

거래량도 상승 중이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9월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9일 기준 5100건으로 집계됐다. 9월 부동산 매매신고는 이달 말까지 가능한 만큼 거래량은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서울 아파트 매매량은 지난 4월 5085건에서 6월 9412건으로 크게 뛰었다. 그러나 6.27 부동산 대출 규제가 발표되면서 7월 4039건, 8월 4195건에 그쳤다. 

서울 아파트 매매 활성화는 성동·마포구와 광진·동작구 등 비강남권 한강벨트에서 신고가 거래가 이어진 영향이다. 25개 자치구에서 아파트 가격이 모두 올랐으나 그중에서도 비강남 '한강벨트'에 속하는 성동·광진·마포구의 상승세가 눈에 띈다. 성동구는 0.78%로 오름폭이 서울에서 가장 컸다. 마포구는 0.69%, 광진구는 0.65% 상승했다. 이에 대해 백새롬 부동산R114 책임연구원은 "6.27 발표 당시에는 관망세가 짙었으나 9월 들어서는 대출 규제 효과가 풀리고 있다"며 최근 강한 매수세의 원인을 분석했다.

부동산업계에서는 추석 이후 한강벨트를 중심으로 토지거래허가제(토허제)와 투기과열지구, 조정대상지역 적용 같은 규제지역 확대를 예상하고 있다.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도 지난달 29일 기자간담회에서 "매우 심각하게 바라고 있다"며 "필요 시 추가 대책을 낼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관건은 추가적인 규제로 서울 집값 상승세를 잡을 수 있느냐다. 규제가 나온다면 거래량이 꺾이면서 아파트 가격이 당장은 주춤거릴 가능성은 있다. 김인만 김인만부동산경제연구소장은 "최근 가격 급등에 대한 피로감 속에서 추가적인 정부 대책이 나온다면 당분간은 오름세가 진정될 수는 있다"고 내다봤다.

다만 집값 상승을 근본적인 하락으로 바꿀 수 있느냐에 대해서는 회의적이다. 김제경 투미부동산컨설팅 소장은 "토지거래하 구역을 확대하면 일시적으로 주춤할 수는 있어도 집값을 잡을 순 없다"고 지적했다. 5년째 토허제로 지정됐음에도 연일 신고가를 기록 중인 강남구 압구정동 재건축 단지를 언급한 김제경 소장은 "아직도 시중에는 돈이 풍부하다"며 "집값이 올라가는 근본적인 이유를 놔두고 거래만 막는 땜질식 규제로는 집값이 해결되지는 않는다"고 강조했다. 

결국 집값 오름세를 꺾으려면 서울 주택공급 부족을 해결하지 않고서는 가격 상승을 막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정부가 지난달 초 주택공급 대책을 발표했으나 달아오른 매수심리를 식히지 못하고 있다. 해당 공급대책의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평가 때문이다. 때문에 앞으로 이같은 심리를 잠재울 수 있는 현실적 공급안을 내놓을 수 있느냐가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미디어펜=서동영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