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규제 풍선효과 통한 ‘인기 급증’…분양 앞둔 '칸타빌 디 에디션' 주목
[미디어펜=조태민 기자]경기 김포 부동산 시장이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비규제 프리미엄에 서울행 교통호재, 합리적 가격이 더해지면서 수요자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기 때문이다. 

   
▲ 칸타빌 디 에디션 조감도./사진=대원


14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에 따르면 김포 대장주 아파트인 '풍무 센트럴 푸르지오' 전용 84㎡는 10월 7억 원에 거래됐고, 8억5000만 원에 호가가 형성됐다. '한강메트로자이' 전용 84㎡ 역시 8억 원대 매물이 크게 늘었다. 김포는 7월에만 469건의 매매거래가 이뤄져 6·27대책 이후에도 매수세가 꾸준하다.

특히 탈 서울 수요가 몰리는 점이 눈에 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해 3분기에만 서울 거주자의 김포 아파트 매수 건수는 200건에 달해 서울 집값 부담에 서울을 벗어나려는 수요도 대거 몰리는 것으로 분석된다. 

청약 시장도 달아오르고 있다.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최근 진행된 ‘김포풍무 호반써밋’과 ‘풍무역 푸르지오 더 마크’가 흥행했다. 특히, 중소형 타입에 수요자들의 선호도가 두드러진다. 김포풍무 호반써밋은 전용면적 84㎡A 타입이 24.5대 1을 기록해 최고 경쟁률을 기록했고, ‘풍무역 푸르지오 더마크’ 역시 84㎡A 타입이 29.6대 1로 최고 경쟁률 나타냈고, 74㎡A 타입도 13.0대 1로 치열했다.

이와 같은 최근 김포 시장의 흥행을 이끄는 가장 큰 동력은 단연 10·15 부동산 대책에 따른 '풍선효과'다. 특정 지역을 규제로 묶으면 갈 곳 잃은 수요와 자금이 인근 비규제지역으로 쏠리는 현상이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김포는 2020년 11월 조정대상지역으로 지정되기 전 약 3년간 아파트값이 48.0% 상승한 바 있다. 2020년 한 해 동안만도 30.1% 급등했다.

풍선효과가 시장을 달구는 이유는 비규제지역만의 실질적인 혜택 때문이다. 신규 분양 중도금 대출 기준으로 서울 등 투기과열지구의 주택담보인정비율(LTV)이 40% 수준에 묶인 것과 달리, 김포는 최대 60%까지 적용돼 적은 초기 자본으로 내 집 마련이 가능하다.

또 가점 위주인 규제지역과 달리 추첨제 물량 비중이 높아 무주택 기간이 짧은 2030세대와 신혼부부도 청약 당첨 기회를 노릴 수 있다. 다주택자 양도세 및 종부세 중과에서도 배제돼 실수요는 물론 투자 수요까지 끌어들이고 있다. 여기에 분양권 전매 제한 기간이 6개월(민간 택지 기준)로 짧다.

서울 접근성을 대폭 개선할 교통 호재 역시 지역 가치를 끌어올리는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다. 현재도 김포골드라인을 통해 서울 주요 업무지구로 이동이 편리하며, 서울 지하철 5호선 연장 사업까지 추진되고 있어 미래 가치를 높이는 핵심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GTX-D(장기~부천종합운동장역) 노선도 작년 7월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해 기대감을 더하는 중이다.

이와 같은 열기 속 북변지구에 연내 신규 공급이 예고돼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종합건설사 ㈜대원이 주거 브랜드 '칸타빌'을 내걸고 북변2구역에 '칸타빌 디 에디션'을 이달 분양할 예정이다. 단지는 총 612가구, 전용면적 66~127㎡로 조성된다.

김포골드라인 걸포북변역을 도보로 이용할 수 있는 역세권 입지로 여기에 단지 도보 거리에 서울 지하철 5호선 감정역(추진)이 계획되어 있어, 노선 연장 시 직접적인 수혜가 기대된다. 

분양 관계자는 “대원 칸타빌 브랜드의 오랜 시공 노하우를 집약해 일대를 대표하는 랜드마크 아파트로 조성할 것”이라며 “김포 내 갈아타기 수요는 물론 서울 등 타 지역에서도 문의가 많아 관심이 높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미디어펜=조태민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