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핵·미국-중국 ‘무역전쟁’ 등 대외 리스크↑
삼성·현대차 불확실성 가중…기업집단국 부담
[미디어펜=조한진 기자]재계의 경영 시계가 점점 좁아지고 있다. 북한의 핵위협 확대와 미국-중국 ‘G2’의 무역전쟁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대외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다. 여기에 재계 1·2위 삼성과 현대자동차는 각각 총수와 노조 문제로 하루하루가 가시밭길이다. 공정거래위원회의 기업집단국 신설까지 재계의 부담이 점차 확대되는 양상이다.

16일 재계에 따르면 주요 기업들은 불확실성이 확대 되면서 경영계획 수립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기업들은 당장 내년도 투자 계획 등을 수립해야 하지만 한치 앞을 내다보기 어려운 상황이 지속되면서 의사 결정에 난항을 겪고 있다.

   
▲ 삼성전자(왼쪽 상단에서 시계방향으로), 현대자동차, LG, SK 본사 사옥 /사진=연합뉴스

특히 재계는 나라와 기업의 운면이 바뀔 수 있는 북핵 문제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미국과 북한이 ‘강대강’ 모드에서 다소 분위기를 누그러뜨리고 있지만 불씨가 언제 다시 살아날지 모르는 상황이다.

여기에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도 불안 요소로 부상하고 있다. 미국은 중국이 대북 압박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고 있다며 무역 보복을 예고하고 있다. 도널트 트럼프 미국대통령이 무역대표부(USTR)에 중국의 지식재산권 침해와 강제적인 기술이전 요구 등 부당한 관행을 조사토록 하는 내용의 대통령 각서에 서명하자 중국이 강력 반발하는 모양새다.

미-중의 경제 파워게임이 격화될 경우 글로벌 경제 지형이 크게 요동칠 가능성이 크다. 글로벌 경제의 양대 축인 미-중이 최근 무역 장벽을 높이는 가운데 또 다른 불똥이 우리 기업들에게 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현재 각 기업들은 북핵 리스크와 미-중 상황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지만 뾰족한 수가 없다는 입장이다. 기업들의 노력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기 때문이다. 

A그룹 관계자는 “현재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전 임직원이 관심을 두고 있지만 회사차원에 할 수 있는 일이 거의 없다”고 말했다.

우리 경제를 선두에서 이끌고 있는 삼성전자와 현대자동차도 위기의 8월을 보내고 있다.

삼성전자는 오는 25일 예정된 이재용 부회장의 1심 선고 결과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 부회장이 빠른 경영 복귀가 절실하기 때문이다. 재계는 만에 하나 이 부회장의 공백이 더 길어질 경우 삼성과 우리 경제 전체의 부정적인 영향이 확대될 것이라는 우려를 하고 있다.

현대차는 노조 문제로 시름하고 있다. 현대차 노조는 올해 임금과 단체협약 교섭과 관련해 10일과 14일 두 차례 부분파업을 실시했다. 현대차는 이미 약 1300억원의 생산차질이 발생한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노조가 파업에 돌입할 경우 피해액은 눈덩이처럼 불어날 전망이다.

재계에서는 노조의 근시안적인 행동이 현대차 전체의 불안요소가 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최근 현대차의 내수와 수출이 줄면서 일부에서는 위기론이 거론되고 있다. 최근 글로벌 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되는 가운데 현대차가 해법을 찾지 못하면 정말 벼랑 끝에 설 수 있다는 시각도 있다. 

   
▲ 지난 6월13일 현대자동차 울산공장에서 노조의 2017 임단협 투쟁 출정식이 열리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여기에 대기업 조사를 전담하는 공정거래위원회에 기업집단국이 신설되면서 주요 기업들의 부담이 한층 늘어날 전망이다. 2019년 9월 30일까지 한시 운영되는 기업집단국은 대기업들의 경영 전반을 세밀하게 들여다볼 전망이다.

재계에서는 자산 규모가 큰 그룹만을 대상으로 규제를 확대하는 것은 형평성에 문제가 불거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아울러 어려운 상황에서 경영 부담이 가중될 수 있다는 걱정도 커지고 있다.

재계 관계자는 “공정위의 조사 자체가 기업들에게는 큰 부담”이라며 “공정위의 조사권 강화는 기업 활동 위축과 함께 내부 정보 유출 등의 부작용도 예상된다”고 했다.
[미디어펜=조한진 기자] ▶다른기사보기